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
스승
선생님
스승님
d라이브러리
"
교수님
"(으)로 총 50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01
권해볼 만한 영화 같아요.상준_ 오늘 나온 얘기들이 무척 흥미진진했습니다. 황
교수님
말씀이 특히 유익했습니다. 영화에서 제기되는 과학적인 얘기를 다른 곳에서는 제기할 수 없잖아요. 과학동아에 걸맞는 좋은 얘기를 나눴던 인상깊은 자리였습니다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11
궁금한 점으로 꼽았습니다. 두분께서는 이 질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칼 세이건
교수님
부터 말씀해주십시오.칼 세이건 저는 1960년대 말 미국 공군의 UFO 자문을 맡으면서 이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그 동안 제 연구조사 결과를 한마디로 말하면 ‘UFO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
원자와 분자로 글씨를 쓴다
과학동아
l
200007
대단하다.자상함으로 무장한 연구실의 덕장인 셈이다.나노의 세계에 빠져서 그런지
교수님
부터 연구원들이 모두 아담하고 자그마한 모습이다.이들은 매년2월 스키장에서 선후배 만남을 가진다.모든 일을 마다하고 달려오는 선배들,끈끈한 정과 화기애애한 연구실 분위기는 다른연구실에서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01
교수 왈. “여기저기 다니며 벤처에 대해 강연하다보니, 사람들이 그러더군요. 말 잘하는
교수님
이 직접 해보시라고.” 학계에 있는 교수가 벤처에 대해 알면 얼마나 알까, 또 우리나라에서 벤처를 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겪어보란 뜻. 물론 지나가는 말 중에는 정말로 이 교수에게 거는 기대가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10
그런데 합의회의 본행사에서 한가지 에피소드가 발생했다. 시민 중 한명이 황교수에게 “
교수님
체세포를 복제할 의향은 없느냐”고 물었던 것이 발단이었다. 황교수는 자신이 국가공무원 신분이고 자신의 연구가 개인적인 차원에서 마음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을 설명했다. 질문처럼 황교수 ... ...
나무도 감정을 느낀다
과학동아
l
199809
사랑과 정성으로 키운 것과 미움과 무관심으로 키운 것은 잎사귀의 색깔부터가 달랐다.
교수님
이 가져 오신 화분 두 개가 식물에게도 감정이 있다는 것을 여지없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들도 인간과 마음이 통하는 살아있는 생명체인 것이다. 하루쯤 놀다오는 피서지로만 생각했던 숲이 사람과 ... ...
3. 점쟁이 예언을 상대론으로 풀어라
과학동아
l
199709
단원을 배우고 나면 완전하게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파인만이 슨 교재를 읽어보고
교수님
의 강의를 다시 되새겨보면서 소화해냈다. 그럴 때마다 정말로 상쾌하고, 어떻게 표현할 수 없는 좋은 기분이 들었다. 앎의 즐거움이었을까. 어쩌면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의 입장이 돼 그 무엇인가를 깨달았기 ... ...
Ⅳ. 4인의 프리즘으로 본 포항공대
과학동아
l
199611
갔니?” 가끔 이렇게 묻는 사람들이 있다. 그때마다 “좋은 시설이 있고 훌륭한
교수님
들이 계시잖아요”라고 한마디로 대답해준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포항공대를 선택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단순히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선택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 ...
수학 마무리 특강
과학동아
l
199610
세번만 읽고 나면 수학에 대한 자기 나름의 무언가가 세워질 것이다.어떤 일로 모교에
교수님
을 찾아 간 일이 있었다. 근황을 여쭈었더니 요즈음 교과서를 쓰느라 바빴다고 하셨다. 정년을 앞두신 선생님의 정열이 필자의 몸에 확 느껴졌다. 부디 교과서를 쓴 저자의 숨겨로가 열정을 구석구석에서 ... ...
전설적인 해커, 아브락사스 방랑기
과학동아
l
199609
공부를 등한시 하는 사람을 일컫는 속어)을 연마하던 내가 시험문제의 정답여부를 놓고
교수님
과 왈가왈부를 하게 되었으니(그것도 영어로) 얼마나 큰 발전인가.지금까지 살아온 길 가운데서 가장 암흑기라고도 할 수 있는 KAIST 시절이 나한테는 굉장히 크나큰 발전의 발판이 된 것이다. 그러나 나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