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간
하루
날
일일
일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낮
"(으)로 총 86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02
조금 높이 떠 있을 터인데 태양이 있는 곳을 지나가는 적경은 12시다. 당연히
낮
12시(정확히는 12시 30분)가 되면 태양은 정남에 온다. 하늘의 한반도 지키는 6등성큰 그림에서 본다면, 밤하늘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구다.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표면의 한 지점은 밤하늘의 한 지점과 ... ...
"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1
시작했어요. 힘들게 받아온 박사학위를 그냥 버려 둘 수만은 없었던 것이죠. 그래서
낮
에는 군 생활을, 밤에는 한국과학기술원의 연구원으로 하루 서너 시간만 자면서 연구를 계속 했어요.그런 생활은 1년 6개월 동안 계속 되었고, 그 기간 동안에 박테리아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게 되었지요.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01
총칭 불포화지방산은 2중결합이 많은 만큼 같은 탄소수의 포화지방산보다 녹는점이
낮
다2중결합의 위치, 시스-트랜스 이성질체 등에 의해서도 녹는점이 다르다2중결합의 위치를 표기하는 데는 카르복 시기의 탄소를 1로 부호를 붙인다유기화합물 중 탄소골격에 다중결합을 함유하는 화합물 이에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01
있다. 적당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과 품종을 개량하는 것.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면
낮
이 길어지고 따뜻해진다. 닭은 이 변화를 새끼를 낳아 키우기에 적당한 계절이 다가왔다는 신호로 보고 알을 낳기 시작한다. 따라서 인공적으로 온도를 높여주고 조명을 쪼여주면 닭은 계속 알을 낳게 된다. ... ...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그때 벼리는 풀이 자신에게 뭔가 말하려고 애를 쓰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아까
낮
부터 계속 보내 오던 신호를 다시 보내 오는 것이다. 벼리는 한참 동안 살색 풀을 바라보았다. 살색 풀은 안타깝다는 듯이 혹은 반갑다는 표정을 짓고 있는 것만 같았다. 벼리는 가만히 손을 내밀어 잎에 대어 ... ...
가을 물들이는 노랑 빨강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0
안토시아닌이 만들어지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탄수화물이에요. 가을 날씨처럼
낮
에 햇볕이 따스하고, 밤에 온도가 내려가면 탄수화물이 더 많이 생겨 안토시아닌도 많이 생기는 것이지요. 잎에 엽록소가 파괴되면 이 안토시아닌의 힘(?)으로 잎이 빨갛게 되는 것이지요. 빨간색을 띠는 대표적인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12
가로등을 모조리 없애는 일은 불가능한 상상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가로등의 밝기를
낮
추고 인공불빛의 확산을 막는 것, 하늘에 별이 20~30개 밖에 안 된다고 생각하는 요즘 도시 아이들에게 밤하늘에 대한 감수성을 되돌려 주는 것은 어른들에게 남겨진 몫이 아닐까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11
흥미롭게도 케플러 초신성은 우리은하에서 마지막으로 발견된 초신성이다. 1006년 5월
낮
에도 보일 정도로 밝은 초신성이 출현한 것을 비롯해 1054년에 목성 밝기의 초신성이 나타났고 1572년 11월에 케플러의 스승인 티코 브라헤가 또 하나의 초신성을 발견했다. 1604년 케플러 초신성 이후 지난 4백년간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11
것이 금성이고, 목성은 오른쪽 아래에 떠있다.두 행성이 가장 가까이 접근할 때는 5일
낮
이다. 따라서 5일 새벽과 6일 새벽 무렵이 절호의 관측 시점이다.그렇다면 실제 관측은 어떻게 해야 할까? 5일이나 6일 해뜨기 약 1시간 전쯤인 새벽 6시경에, 점차 밝아지는 동쪽하늘을 바라보자. 아직 어둠이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10
입력 임피던스가 넓은 주파수대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단파회선에서
낮
과 밤에 주파수를 바꾸어도 같은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달표면의 지형을 정밀 탐사하기 위해 쏘아 올린 미국의 달표면 탐사기 1966년 8월부터 67년 8월까지 모두 5기가 발사되었다 3호기까지는 달의 적도에 대한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