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d라이브러리
"
상용
"(으)로 총 703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용카드 대체할 휴대폰 결제시대
과학동아
l
200208
가 모바일 금융거래의 표준 규격으로 ‘IrFM’(Infrared Financial Messaging)을 확정, 발표하면서
상용
화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비자인터내셔널이 지원하는 IrFM은 단말기간 통신과정에서 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방향과 거리에 제한을 둔 점이 특징이다. 또 접속 제어장치가 휴대폰(스마트카드)에 내장돼 ... ...
빨라진 대중교통·여전히 혼잡한 도로
과학동아
l
200208
있는데, 자동 차량 간격 조정 장치를 통해 3-4천대로 늘리려는 것이다.2010년쯤에는 현재
상용
화되지 않은 수소자동차가 눈에 띌 전망이다. 지난 1월 초에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모터쇼가 열렸다. 여기에서 세계 최대의 자동차판매회사인 GM사가 수소연료전지로 구동되는 자동차를 선보였다. 이때 릭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07
없이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다. 이 메모리는 1980년대부터 연구가 시작돼
상용
화가 부분적으로 진행됐다. 그러나 고집적화를 위한 생산공정과 나노수준의 소재물질을 개발하는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F램은 강유전체의 안정된 두개의 편광상태를 이용해서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07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때 생기는 발광현상을 관측하면서 비롯된 것으로, 1960년대 말부터
상용
화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적색 계통의 LED만 개발됐으나, 현재에는 새로운 반도체 재료가 개발된 덕분에 청색과 녹색의 LED가 개발됨으로써 총천연색뿐 아니라 백색의 빛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과연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07
생산 설비 없이는 제품을 만들어낼 수 없다. 마찬가지로 나노기술이 각종 첨단 제품으로 현실화되려면 인프라인 각종 나노장비가 필수적 ... 나노가공에 응용하기도 한다. 아직까지 실험실 수준에 머물러 있는 3차원 나노가공 기술이
상용
화될 때 비로소 나노산업이 개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
한일월드컵에 등장하는 특수 운동복
과학동아
l
200206
입게 된다. 잉글랜드 대표팀이 이용할 냉동 운동복은 NASA 존슨우주센터가 신기술
상용
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982년 테크니-클로스사에 이전한 기술로 제작됐다 ... ...
대우받는 기술자로 남기 위한 청색 혁명
과학동아
l
200206
ROM보다 RAM 방식 저장매체를 선행 발표하는 등 규격과 사양은 멋들어진 블루레이지만,
상용
화에 대해서는 각사 모두 우물쭈물하고 있다.● ● 그 이유는 다시 청색. 아직 여명기이기에 현 기술 단계로는 수명이 겨우 수백시간에 그칠지도 모른다는 걱정이 팽배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나까무라씨의 ... ...
유방암 알려주는 브래지어
과학동아
l
200206
진단 브래지어는 곧 중국에서 수천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에 들어갈 예정이다.
상용
화된 제품은 임상실험이 끝나는 2005년 이후에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는 이같은 브래지어에 소형 분석시스템이 함께 내장돼 브래지어만 차고 다니며 간단하게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지 않을까 ... ...
4. 돛올린 국내 초전도기술 개발의 현장
과학동아
l
200205
줄곧 초전도응용분야를 연구해온 류단장은 기술 개발 초기 단계부터 산학연 협동으로
상용
화 기술을 개발하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류단장은 이 사업의 또다른 이름을 다파스(DAPAS, Dream of Advanced Power system by Applied Superconductivity technology program)라고 소개했다. 초전도 ...
3. 송전철탑 없는 고효율 전력기 탄생
과학동아
l
200205
정부와 6대 전력회사의 공동연구를 통해 2010년부터 2050년까지 7백-1천km의 케이블을
상용
으로 설치할 계획이다.국내에서는 한국전기연구원에서 1986년부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됐으며, 현재 설계기술을 확보한 상태다. 한국전기연구원은 초전도 케이블 개발사업을 3단계 과정으로 나눠 진행하고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