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건전지에 매달려 도는 팽이
과학동아
l
199910
보자.■왜 그럴까?자석과 닿아있는 못에는 전류가 아래 방향으로 흐르고 자석 주변에는
원형
의 자기장이 만들어진다. 못의 횡단면 왼쪽 끝을 생각해보자. 못의 왼쪽 지점에서 전류의 방향은 아래방향, 전류에 수직한 자기장의 성분은 오른쪽 방향이므로 힘의 방향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이다. 이에 ... ...
공룡알에 숨겨진 비밀들
과학동아
l
199908
둥지의 중요한 특징은 부화되면서 새끼가 빠져나간 위 부분을 제외하고 알 껍질이
원형
으로 보존돼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새끼 오로드로미우스가 알에서 부화되자마자 어미 닭이 하는 것처럼 어미의 보살핌 하에서 곧바로 둥지를 걸어나갔다는 것을 강하게 암시한다. 알속에서 화석으로 발견된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07
마방진처럼 사각형 형태의 직교형 배열에 집중한 것인 반면 동양에서는 방진 외에도
원형
, 십자형, 거북등형 등 다양한 형태의 숫자배열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것은 대표적으로 양휘와 최석정의 책에서 잘 볼 수 있다. 최근 서구에서는 유대 별모양의 6각형 배열, 삼각형 배열, 오각형 별모양 배열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05
원형
천장은 16개의 큰 기둥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16개의 기둥만으로 이처럼 큰
원형
천장을 받치는 것은 구조적으로 볼 때 무리다. 그러나 로마 사람들은 16이라는 숫자에 대한 신앙적 믿음 때문에 16개를 초과해 기둥을 더 쓰지 않았다.그 대신에 이에 따르는 구조적 무리를 릴리빙 아치(relie-ving ... ...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05
참여한 남성은 정소에 결함이 있어 자체적으로 성숙한 정자를 만들지 못했다. 만일
원형
정세포까지 만들 수 있다면 ROSI를 통해 임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훨씬 이전 단계인 정원세포나 제1정모세포에 머물고 있는 남성이라면 문제가 다르다. 아직 염색체수가 절반으로 줄지 않은 탓에 생식세포로서의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
과학동아
l
199905
타원은하는 대부분 나이가 많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별한 무늬 없이
원형
이나 타
원형
을 하고 있다. 이들 중 크기가 작은 왜소타원은하는 크기는 작지만 큰 질량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전체 은하 분포의 약 50%를 차지한다. 불규칙은하는 특별한 모양을 가지지 않지만 전체 은하의 약 20%를 ... ...
자연의 일부 생태건축 그린빌딩
과학동아
l
199905
전통적인 건축은 우리의 자연환경과 생태학적인 조화를 이루어온 한국적 생태건축의
원형
으로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전통이 그대로 현실의 생태건축이 될 수 없는 것은 현대인의 욕구와 생활방식이 전통의 건축에서 그대로 충족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생태계와의 조화를 따진다면 전통의 ... ...
③ 꼬리없는 정자로 임신 성공
과학동아
l
199905
국내에서 시술에 성공한
원형
정세포는 정자와 가장 가깝게 분화된 상태다.이처럼
원형
정세포를 난자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을 ROSI(ROund Spermatid Injection)라고 한다. 성숙한 정자처럼 머리와 꼬리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전달하려는 유전자만 제대로 전달하면 되는게 아니냐’는 것이 ROSI의 ... ...
무지개는 왜
원형
일까
과학동아
l
199904
나온다. 즉 무지개가
원형
인 이유는 물방울이
원형
이기 때문이다. 만약 물방울이
원형
이 아닌 사각형이나 삼각형이라면 우리는 새로운 모양의 무지개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해가 지평선에 걸려있고 빗방울들이 관찰자로부터 1km 떨어진 곳에 있다고 하자. 관찰자보다 730m 높이에 있는 물방울에서 ... ...
가락지성운은 원통모양
과학동아
l
199902
수명을 다하고 폭발하면서 잔해가 우주 공간으로 퍼져나가면서 생겨난 것이다.그 동안
원형
으로 알려져 온 가락지성운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새로운 사진을 보내옴으로써 그 실체를 드러냈다. 실제로 가락지성운은 원통형이지만 지구에서 볼 때는 그 한쪽 끝만을 보게 되므로 원으로 보이게 된다는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