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바탕
d라이브러리
"
한참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에 날개를 단 무선단말기
과학동아
l
200008
뒤처진다면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정보가 경쟁력인 사회에서 정보에 눈이 어두워 자신이
한참
뒤에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면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우리속담에 알아야 면장을 하고,구슬이 서말이라고 꿰야 보배라 했다.남보다 앞서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뒤떨어질 수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면 ... ...
윈도 vs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07
윈도가 설치된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컴퓨터 화면에 여러 가지 내용이 표시되고
한참
후에는 바탕화면이 뜬다. 이것은 윈도가 컴퓨터로 다른 작업들을 할 수 있게끔 모든 것을 준비해가는 과정이다. 공부를 하기 위해 책상을 정리하고 필기구, 책 등을 준비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컴퓨터를 켤 ... ...
오픈소스 문화의 영웅들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07
팔고 자신들이 결코 소유하지도 못할 기술을 개발하는데 시간과 정성을 들이다니 돌아도
한참
돌았군. 그것도 마이크로소프트라는 거인이 장악하고 있는 운영체제 시장에서….”로버트 영과 마크 어윙이 이끄는 레드햇은 1995년 이런 의문 속에서 설립됐다. 20여년간 컴퓨터업계에서 자금 및 영업을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07
복제하는 방법이다. 게놈프로젝트가 완료된 효모, 선충, 초파리의 게놈에서, 그리고
한참
진행중인 인간게놈에서 살펴보면, 이 방법으로 새로운 유전자를 획득했다는 구체적인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A라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DNA 영역이 복제돼 게놈 내에 두개의 A유전자가 만들어졌다고 ... ...
동물병원 24시
과학동아
l
200005
전국 어디서도 뇌염모기가 나타났다는 이야기는 없다. 도대체 어떻게 뇌염에 걸렸을까.
한참
을 고민하던 의사가 혹시 집에 강아지를 키우지 않느냐고 물어본다. 아니 짱구가 아픈 것과 강아지가 무슨 상관이 있다는 말인가.강아지가 옮긴 뇌염짱구가 퇴원하던 날 짱구 아버지는 강아지 흰둥이를 ... ...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했을까?
과학동아
l
200004
이 전통을 대표한다. 그 성취가 놀라와서 근대 서양의학이 도입된 후에도
한참
동안 이 법의학 지식이 재판에 그대로 활용될 정도였다.“칼에 찔렸는가 도끼에 찍혔는가? 목매달아 죽은 것인가 죽인 후 목을 매단 것인가? 토막 살인인가 살해 후 토막을 낸 것인가? 독살인가 아닌가?… ” 모든 유형의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02
수 있는 일이었지만 에라토스테네스는 베타라는 별명을 달고 다닐 만한 인물이었다.
한참
을 생각한 끝에 이러한 차이가 생기려면 지구 표면이 곡선처럼 휘어져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또한 그의 탐구는 여기서 끝나지는 않았다. 두 차이점을 이용하면 지구의 크기를 잴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 ...
도메인 네임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002
아래아한글을 만든 한글과컴퓨터에서 개발한 인터넷 검색 엔진인데, 한글과컴퓨터사가
한참
어려울 때 데이콤으로 팔린 회사이다. 국내에서는 꽤 인지도가 높은 검색 사이트다.원래 이 사이트 이름은 www.simmany.net이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www.simmany.com 도메인을 등록하고, 온갖 검색 사이트의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01
먹기 위해 수면 위로 몰려들었다. 이 모습을 지켜보던 해오라기는 어디론가 사라지더니
한참
만에 새의 깃털처럼 보이는 물건을 물고 나타났다. 그리고는 아까 앉아 있던 자리에 올라서서 입에 문 깃털을 떨어뜨렸다. 이때 재미있는 일이 벌어졌다. 물고기들이 깃털을 먹이로 착각하고 수면위로 ... ...
지구관측위성 아리랑1호
과학동아
l
200001
발사됐다. 현재 아리랑 1호는 고도 6백85km에서 98분에 한번씩 지구를 돌면서 자세잡기에
한참
이다. 아리랑 1호는 다목적실용위성으로 불리지만 사실은 지구관측위성. 여기에는 사연이 있다. 1994년 위성 개발을 시작할 때 한반도 전역을 내려다볼 수 있는 관측위성을 만드는 일은 주변국가들, 특히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