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갑옷을 입은 포유류 아르마딜로 VS 천산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함께 단단한 등껍질을 가지고 있는 동물로 잘 알려져 있어요. 등껍질을 갖고 있다는 공통점 때문에 헷갈리기 쉽지만, 아르마딜로는 피갑목인 반면, 천산갑은 유린목에 속해요. 실제로 이 둘을 잘 보면 등껍질이 서로 다르게 생겼답니다. 동물의 가죽처럼 생긴 아르마딜로의 등껍질과는 달리,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않고 멈추는 거예요. 모팻 교수의 이 연구는 난기류에서도 하늘을 잘 날 수 있는 항공기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어요. 이처럼 장난감은 수리물리를 연구하는 수학자에게 좋은 연구 대상이랍니다. 수학자들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방법을 살펴보니 어땠나요? 집에 있는 장난감이 다시 ... ...
-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불린다. 10분쯤 이어진 공연에서 아시모는 게처럼 옆으로 걷고, 한 발로 뛰고, 축구공을 차고, 노래에 맞춰 춤을 췄다. 뒷걸음질로 인사하며 퇴장까지 마무리도 완벽했다. 아시모는 로봇이라는걸 아는데, 뇌는 자꾸 착각을 일으킨다. 저 안에 사람이 들어가서 조종하는 것 같다고. 실감이 주는 감동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좌우 비대칭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배아를 반대 방향으로 배치해 액체의 흐름과 인공 물살의 흐름을 반대로 만들었을 때는, 섬모의 움직이는 방향이 물살에 따라 바뀌면서 배아가 정상적인 좌우 비대칭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즉 좌우가 바뀌어 발달했습니다. 우리 몸의 거대한 좌우 축이 섬모의 작은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 결과는 지난해 ‘한국인지및심리학회’ 학술대회에서 포스터 발표로 선정돼 공개됐다. 국내 뇌과학 동아리 구심점으로뉴런에서 최근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다른 학교와의 연계 활동이다. 대학마다 뇌과학 동아리가 하나둘 생겨나고 있는 만큼 뇌과학 동아리 커뮤니티를 만들고, 이들과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성공했다. 다중신호 천문학이 실제로 동작하고 있다는 설렘과 흥분을 모든 연구자들이 공유한 극적인 사건이었다. 이는 라이고 과학협력단이 수 년 전부터 다중신호 천문학의 관측 체계를 구성하기 위해 전 세계의 천문대, 위성 프로젝트들과 긴밀하게 협력해온 데에 따른 쾌거였다. 이번 관측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유전자들을 ‘혹스 유전자(hox genes)’라고 부릅니다. 혹스 유전자들의 중요한 특징은 ‘공통 직선성(colinearity)’입니다. 하나의 염색체에 모여 있는 혹스 유전자들을 가장 앞에 있는 유전자부터 가장 끝에 있는 유전자까지 쭉 나열하면, 앞에 있는 유전자부터 순서대로 머리, 목, 가슴, 꼬리 부분의 ... ...
- 끝없이 질주하는 8번 공만 있으면 너도! 당구 신동수학동아 l2017년 11호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학의 정석’이라는 책을 고등학교 때 가장 싫어했는데, 그 책을 다시 구해서 수학을 공부했다. Q. 현재 CG의 수준은 가상의 배우를 구현하기에 충분한 기술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배우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오게 될까. 앤더스 랭글랜즈 감독: 그런 이야기가 지난 몇 년간 계속 나오고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