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상
정점
절정
천정
천정점
최고부
수석
d라이브러리
"
꼭대기
"(으)로 총 50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현재까지 엘리베이터의 최고속도는 6백m/분. 고속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시어즈타워의
꼭대기
1백10층도 1분 이내에 올라갈 수 있다. 진동 소음 승차감 때문에 더 이상 속도를 낼 수가 없다. 국내 최고층인 대한생명빌딩(60층)의 고속엘리베이터는 5백40m/분의 속도를 낸다. 이 엘리베이터를 처음 타본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것 말고는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구기덕 반대의 경우로 제련소를 생각해보세요. 만약에
꼭대기
서부터 아래로까지 관이 죽 연결되어 있다면 뜨거운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원리에 따라 아래쪽의 공기가 위로 빨려 올라가야 합니다.사회 자연에어컨(풍혈)의 원리에 대해서는 단열팽창론과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자리잡고 있으며 화강석 및 청동으로 이루어진 신고전주의 및 신고딕풍의 건물이다.
꼭대기
에 불완전한 경사면(pediment)이 있으며 이것은 대칭성을 강조한다. 하부는 지상에서 18m 높이까지 개방해 통행인의 왕래가 자유로우며 6개층 높이의 둥근 천장(vault)으로 입구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미글린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점점 가라앉게 되고 화산의 정상부가 해수면에 접근했을 때 파도의 침식작용을 받아 산
꼭대기
부분이 평평한 기요를 이루게 되었다. 윌슨은 이러한 열점이 지구상에 많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조사를 착수해 1백여개의 열점을 보고했다. 여기에는 우리나라의 추가령지구대와 제주도도 포함돼 있다 ... ...
산
꼭대기
피라미드에서 자연과 벗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저택들이 들어서 있는 부자동네로 유명한 곳이다. 바로 이곳에 이들과 대조적으로 산
꼭대기
에 피라미드식 집을 지어놓고 독특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있다.화제의 주인공은 캐나다 태생의 짐 에식스(Jim Essex)라는 사나이다. 나이는 49세. 그는 태양열로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받는 피라미드에서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많겠지만 그것은 천만의 말씀이다. 91년 3월의 밤하늘에서 목성을 찾는 것은 서울의 남산
꼭대기
에서 63빌딩이나 3.1빌딩을 찾는 것보다 쉽다. 물론 빌딩이나 산에 가려 목성을 볼 수 없는 지역도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예외다.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목성을 찾아보도록 하자. 시리우스를 다시 한번 ... ...
불꽃놀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15cm, 무게가 8.2kg 정도고 35개의 별들로 구성돼 있다. 별이 한 층에 10개씩 쌓여져 있는데
꼭대기
인 4층에는 원모양으로 5개가 놓여 있다. 그 가운데 공간에는 전하폭발을 위한 흑색화약이 들어가 있다. 각각의 별들은 종이로 싸여 있고 이 종이들이 천천히 타들어가는 퓨즈의 역할을 수행한다.종이가 다 ... ...
파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사랑을 받게되리라 상상이나 했을까. 라디오 TV송신 등 실용적인 가치도 대단하다. 탑
꼭대기
전망대에 오르면 온 시내가 한꺼번에 시야에 들어온다. 특히 밤에 보는 모습이 일품이다. 그도 그럴것이 프랑스인의 건물 조명기술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니까. 건물들, 거리의 가로등들, 그리고 센강을 ... ...
낙하속도가 질량과 무관함을 증명한 「피사의 사탑」 실험은 실제 있었을까?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어느날 갈릴레이는 손에 두개의 쇠공을 들고 7층이나 되는 피사의 사탑에 올라갔다. 그는
꼭대기
층의 복도에 나가 질량이 다른 두개의 공을 동시에 떨어뜨렸다. 이실험을 보기 위해 피사대학의 교수와 학생들 등 많은 군중이 모였다. 두개의 서로 다른 쇠공이 동시에 떨어졌을 때 군중들은 놀라움에 ... ...
하늘이 지구를 양육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아닐 수 없다.은하수는 예로부터 인간의 가장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었다. 은하수가 머리
꼭대기
천정(天頂)에서 보이는 적도지방의 옛 사람들은 은하수를 짐승의 등뼈에 비유해 '하늘의 등뼈'라고 생각했다. 하늘이 거대한 짐승이며 우리는 그 짐승속에 살고 있다고 상상한데서 연유한 것이다. 어떤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