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윙
우익
지느러미
방향조정 날개
시준판
d라이브러리
"
날개
"(으)로 총 1,601건 검색되었습니다.
즐겁게 놀다 보니 창의력이 쑥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작용하는 힘의 원리를 배운 뒤, 창의우주 에어로켓을 제작했어요. 창의우주 에어로켓의
날개
는 참가자들이 직접 오리고 붙여 만들었지요. 공기압이 만드는 작용·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해 자신이 만든 에어로켓을 야외에서 발사해 보기도 했어요. 펌프에 공기를 주입하고 에어로켓을 발사하자 ‘뻥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있어요. 물속에서 움직일 때 저항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몸이 유선형이랍니다. 또한
날개
는 물고기의 지느러미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크기와 모양이 변형돼 있지요.지구상에 있는 18종의 펭귄 중에 6종의 펭귄이 추운 남극에 살아요. 남극에 사는 펭귄의 털은 추운 곳에서 몸을 따뜻하게 ... ...
진정한 몬스터가 되고 싶나요? 몬스터호텔2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급출발, 급회전, 거꾸로 날기와 같은 어려운 비행 기술도 척척 해 낼 수 있어. 비결은
날개
와 같은 비막에 나 있는 미세한 털! 털로 공기의 흐름을 읽어내서 갑자기 방향을 돌리거나 공중에서 멈추는 게 가능한 거지. 그래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손자 데니스를 순식간에 구해 낼 수 있었단다.뛰어난 ... ...
Part 1. 조류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공룡이 없어? 그럼 닭으로 만들어!닭은 뾰족한 발톱과 발 뒤에 달린 며느리발톱,
날개
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특성 등 공룡을 연구하기에 딱 좋은 외형을 갖고 있어요. 이 때문에 수각류 공룡의 근육과 생태를 복원할 때 닭의 모습을 본뜨는 경우가 많아요.칠레 산티아고국립칠레대학교 브루노 그로시 ... ...
Part 4. 맛의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구이를 할 때와 달리, 치킨을 만들 때는 닭의 껍질을 일정 부분 남겨둔답니다. 세 겹의
날개
옷 입고 기름으로 풍덩치킨의 튀김옷은 두 가지 역할을 해요. 기름에 직접 튀겨져 바삭한 맛을 내고, 고기의 육즙을 가두지요.가장 많이 팔리는 ‘크리스피 치킨’은 튀김옷을 입힐 때 세 단계를 거쳐요. ... ...
Intro. 오! 나의 '치느님' 공룡에서 치킨이 되기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온가족의 맛있는 간식이자 든든한 영양식, 바삭한 껍데기와 짭짤 달콤 쫀득한 속살의 기막힌 조화….우리가 모두 사랑하는 그 이름은 바로 치킨!먼 옛날 우렁찬 소리로 아침을 알렸던 닭이 이제는 *‘치느님’이라 불릴 정도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됐어요. 닭은 언제부터 우리 곁에 살게 된 ... ...
열 한 번째 대결 높이 높이 날아라~! 나만의 비행기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반작용 법칙이 작용해요.
날개
는 공기가 아래쪽으로 흐르도록 힘을 주고, 공기는 반대로
날개
를 위쪽 방향으로 밀어낸답니다. 이 힘을 ‘양력’이라고 불러요. 비행기는 바로 양력 덕분에 하늘을 날 수 있는 거예요.본격 대결! 나만의 비행기를 날려 보자!STEP➊ 비행기를 만들어 보자!오늘의 도전 ... ...
[과학뉴스] 비행과 수영이 모두 가능한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만든 것이지요. 이를 위해 로버트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로보비의
날개
에서 발생하는 물과 공기의 흐름을 예측했어요. 그 뒤 로보비가 물과 공기 속에서도 각각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날갯짓의 각도와 속도를 찾아냈답니다.로버트 우드 교수는 “같은 원리를 적용해 큰 로봇도 만들 ... ...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자동차 로봇이 있어요. 동그랗고 커다란 바퀴에 달려 있는 작은
날개
들 덕분에 불룩 솟아오른 턱도 문제없이 넘을 수 있어요. 반대로 바퀴를 작게 접으면 아주 작은 틈도 문제없이 스윽 통과하지요.이 로봇은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조규진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가변형 ...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벌의 몸 구조와 날갯짓을 10년 동안이나 연구했어요. 그 결과 1초당
날개
를 120번 움직이며 10cm까지 날 수 있는 최소형 비행로봇이 탄생했답니다.림보하는 소프트 로봇‘로봇은 딱딱하다’라는 편견을 깨는 로봇이 나타났어요. 실리콘으로 만든 말랑말랑한 ‘소프트 로봇’이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