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22. 초대형 케이크, 공평하게 나눠 먹으려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2016년 4월 호주의 수학자 하리스 아지즈와 사이먼 멕켄지가 새로운 케이크 분배 방법을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를 통해 제안했습니다. 그 방법에 따르면 4명일 때 최대 203번 칼질로 공평히 자를 수 있고, n명일 때 공평하게 케이크를 나눠 먹기 위해선 nn^n^n^n^n번 이내로 칼질해야 ... ...
- 물질의 특성 살피는 새로운 도구, 위상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0호
- PNAS)’에 발표했습니다. 이번 결과는 해당 호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습니다. 위상 수학하면 ‘손잡이가 하나 달린 컵과 도넛은 구멍이 한 개인 위상적으로 같은 도형이다’라는 표현을 떠올릴 수 있는데요, 이처럼 컵과 도넛처럼 도형의 모양을 바꿔도 변하지 않는 성질을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네모틀과 탈네모틀 사이에 가독성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 연구원은 논문에서 “익숙함의 차이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글 창제 이후 1900년대 후반까지 한글 글꼴 디자인은 거의 대부분 네모틀이었다. 심 미 성 │ 맛있어 보이게 만드는 글꼴글꼴은 소비자의 ... ...
- [가상인터뷰] 수학계의 베토벤 레온하르트 오일러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당연하죠! 평생 발표한 논문이 800편이 넘는답니다. 두 눈이 보이지 않게 된 후에도 매주 논문 한 편씩을 작성했어요. 그래서 소리가 들리지 않아도 훌륭한 곡을 쓴 베토벤에 비유해 ‘수학계의 베토벤’이라고 불리지요 ... ...
- [논문탐독] 세차게 내리는 빗방울을 하늘에서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지역을 관찰하면 전 지구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강수 현상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이번 논문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6년간 GPM 위성으로 전 지구 영역에서 발생한 집중호우를 관측해 분석해 얻은 강수입자 크기 분포 정보에 따라 강수 구름 유형을 분류했습니다. 분석에는 혼합된 정보를 다양한 ... ...
- [이달의 수학자] 군론의 아버지, 에바리스트 갈루아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갈루아의 연구에 감탄한 리우빌은 1846년 ‘순수수학과 응용수학 저널’에 갈루아의 논문을 실으며 ‘갈루아의 증명 방식, 특히 방정식 이론은 정교함을 지녔다’는 의견을 덧붙였습니다. 그리고 10년 뒤 1856년 갈루아의 이론은 프랑스와 독일의 고등 대수학 교과 과정에 도입됐습니다. 이후 군론은 ... ...
- 제국의 무덤이 된 지질학 요새, 아프가니스탄과학동아 l2021년 10호
- 1’에 따르면 국제 학술 테이터베이스인 스코퍼스(SCOPUS)에 등재된 아프간 연간 과학 분야 논문 수는 2011년 71편에서 2019년 285편으로 늘었다. 과학 선진국에 비하면 적은 수지만, 성장세는 뚜렷했다. 특히 여성 학생의 공학 분야 진출 사례가 나오는 등 주목할 변화가 있었다. 아프간 최초로 ... ...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정태만 인하대학교 고조선연구소 교수는 ‘독도 문제의 수학적 접근’이라는 논문을 발표하고 겐조가 펼친 주장이 허술하다고 반박했어요. 이때 사용된 수학 개념은 삼각함수와 피타고라스 정리로 꽤 간단한 수학식으로 오랫동안 사실처럼 주장해온 겐조의 주장을 반박한 거죠. 그렇다면 정 교수는 ... ...
- [한페이지 뉴스] 코로나19, 알파, 델타, 감마…, 뮤 변이 바이러스 국내 발생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접종으로 생기는 중화항체에 대한 내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결과는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 아카이브(bioRxiv)’에 9월 7일자로 공개했다. doi: 10.1101/2021.09.06.459005연구팀은 mRNA 백신 접종자와 SARS-CoV-2 감염 후 완치한 사람의 혈액으로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효과를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보여주는 흔적들이 남아있다. 김수천 원광대 서예과 교수는 한국서지학회에 발표한 논문 ‘흥덕사본 직지의 서체미에 관한 연구’에서 “전통적인 목판인쇄 제작기법을 대부분 그대로 수용하다 보니 먹이 많이 묻어 활자의 본형보다 굵은 글자들이 보이고 반대로 먹이 종이에 충분히 닿질 않아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