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호
가맹
아래
d라이브러리
"
산하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바라 맥클린토크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워싱턴의 카네기연구소였다. 이 연구소는 그녀를 롱 아일랜드에 있는 콜드스프링 하버의
산하
유전학연구소로 보냈다. 맥클린토크는 연구실과 도로를 끼고 마주보는 곳의 차고를 개조해 만든 집에서 기거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 연구소에 올 때 맥클린토크는 이미 옥수수에 관한 연구로 국제적인 ... ...
포항공대·포항제철과 협동체제 갖춘 산업과학기술연구소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등은 본부건물에서 연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광양연구소는 포항기술연구소의
산하
에 속해 있다. 이처럼 복잡해 보이는 연구조직은 산기연 설립 이전에 포항기술연구소가 있었던 데다가 연구분야가 방대하고 연구소 입지가 3군데에 분산돼 있기 때문이다. 77년 포항제철부설연구소에서 87년 ... ...
스포츠과학 연구소장 정성태 박사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70년대를 거치면서 체육학으로 탈바꿈됐지요.”스포츠과학연구소는 80년 12월 대한체육회
산하
단체로 설립되었고 85년 5월에 훈련원 스포츠과학연구소로 개편됐다. 현재 스포츠생리학연구실 운동기술분석연구실 등 6개의 연구실에 30여명의 연구원이 상근하면서 대표선수 경기력 향상과 국민체력 ... ...
저온살균이냐 초고온살균이냐「진짜우유」논쟁의 내막을 살핀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파스퇴르유업은 5백여두의 젖소를 보유한 성진목장을 직영하고 있는데, 깨끗한 원유를 생
산하
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백마리가 모여 있는 축사안에 들어가봐도 냄새가 별로 없고 젖소들이 한결같이 깨끗하다. 엉덩이 항문부근 유방 등의 청결상태에 유의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설치되었고, 그 대학천문대가 1929년에 세워졌다. 1928년 중앙연구원이 창설되면서, 그
산하
단체로서 천문연구소가 발족하여 현대식 천문대가 처음으로 남경(南京)의 자금산(紫金山)천문대이름으로 1934년에 건설되었다. 초대대장은 여청송(余靑松). 60cm반사망원경이 주력관측기기였다. 그러자 ... ...
포항공과대학 단숨에 명문으로 떠오르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제철학원이 자립화계획을 실현함으로써 포항제철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수입금으로
산하
의 학교(포항공대 등 12개의 각급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것. 자체수익금이 확보된 것은 거양상사 포항로공업 (주)동일 등 5개 기업체의 주식 1백%를 제철학원에서 소유하게 된 데서 비롯된다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5천여평으로 아담하게 자리잡고 있는 창원기능대학은 지난 1977년 11월에 과학기술처
산하
교육기관으로 문을 열었다. 창원공단 배후에서 전문화된 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본관 신축과 훈련기자재도입을 준비한뒤 80년 3월에야 제1회 입학식을 가졌다. 처음에 기계공작 기계정비 금속의 3개학과로 ... ...
기초과학 위에 뿌리내린 첨단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긴밀히 협력하지만 법률적으로는 완전히 독립돼있다. 국제적으로는 약 30개의
산하
전문연구소가 인도차이나와 서부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기구의 독립과 자유로운 연구활동학술기관이 1백년간 번성하기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파스퇴르연구소가 계속해서 번성할 수 있었떤 것은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보건 사회부
산하
국립보건원 농수산물유통공사의 김치연구팀과 한국 식품공업협회
산하
식품연구소에 연구팀이 생겨 김치의 발효를 어느 시점에서 정지·지연시켜 상온에서 김치의 품질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있다.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김치의 장기보존문제는 김치의 ... ...
제염작업이 성패를 좌우 서해안 간척지의 쌀농사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지역에서의 과학적인 영농방법이 집중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현재 농촌진흥청
산하
계화도출장소에 3명, 남양출장소에 2명 등 5명의 연구직 공무원이 간척지 영농을 연구하는 정부인력의 전부인 실정이다.바다를 메워 간척지를 넓혀나가는 일도 중요하지만, 새로 생긴 땅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