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체"(으)로 총 2,0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음의 소리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환자 4000명의 데이터를 표본 분석해 도플갱어가 있을 확률을 구해봤다. 연구팀은 신체 사이즈와 얼굴 길이 같은 생김새와 관련된 정보를 수치화한 데이터를 활용했다. 수치가 비슷한 두 얼굴을 찾아내는 수학 방정식을 만들어 분석한 결과 자신과 꼭 닮은 도플갱어를 만날 확률이 1조 분의 1이라고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소변 검사에서 아드레날린의 부산물인 ‘바닐만델산’ 농도가 줄면서 전체적으로 신체 이완이 이뤄진다.마음챙김 명상이 통증을 경감시키는 구체적인 기작에 대한 힌트도 최근 밝혀졌다. 한 가지 신기한 것은 마음챙김 명상이 진통효과를 내는 방법은, 일반적인 통증 조절 시스템이 작동하는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완벽하지 않은 영상기술과 광학기술 때문에 색수차와 영상 왜곡 현상도 심하다. 신체가 움직이는 것만큼 화면이 자연스럽게 움직이지 않아 메스꺼움이 느껴지고, 가상현실을 즐길 때마다 장갑을 껴야 하거나 센서가 달린 봉을 잡아야 하는 것 자체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전문가들은 좀 더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열쇠가 된다고? 생체 인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인식 기술이 등장했답니다. 생체 인식 기술은 지문과 홍채, 걸음걸이 등 사용자가 가진 신체나, 행동의 특징을 열쇠로 사용하는 방법이에요.● 암호, 경우의 수가 많을수록 안전하다!생체 인식 기술이 기존에 사용하던 비밀번호나 패턴 암호보다 안전한 이유는 생체 정보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인식 기술이 등장했답니다. 생체 인식 기술은 지문과 홍채, 걸음걸이 등 사용자가 가진 신체나, 행동의 특징을 열쇠로 사용하는 방법이에요.암호, 경우의 수가 많을수록 안전하다!생체 인식 기술이 기존에 사용하던 비밀번호나 패턴 암호보다 안전한 이유는 생체 정보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암호의 ...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있거나 걸음걸이가 아주 독특할 때만 활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일반적인 신체 특징에 따라 걸음걸이가 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진다면 범인을 찾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 될 것이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Part 1. ... ...
- [해외취재] 비만 잡는 ‘움직이는 학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만들고, 70여 개의 스포츠 클럽을 만드는 등 시 전체가 어린이는 물론 시민들의 신체 활동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요.이런 노력의 결과 3년 만에 어린이 비만을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었어요. 세이나요키의 어린이가 건강해진 비밀은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비만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 ...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뇌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일리 :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 안녕하세요. 인공 뇌 : 저는 신체 내부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인 뇌예요. 더 정확히 말하자면, 뇌의 여러 부위 중 운동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중뇌’랍니다. 뇌의 중심에 자리를 잡고 있고, 주로 눈의 움직임을 제어하거나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맥박은 건강한 사람일수록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적이다. 주변 환경이나 신체 조건이 달라질 때마다 심장이 순간적으로 대응해 온몸에 혈액을 보내는 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심혈관질환이 있으면 이상적인 프랙탈 리듬에 가까워져 프랙탈 차원이 높아진다. 뇌파 역시 뇌의 ... ...
- [과학뉴스] 우유주사 프로포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정신적 의존성’을 불러오기 때문입니다. 정신적 의존성이란 금단현상은 없지만(신체적 의존성), 투약 시 발생하는 이상황홀감, 공상이나 몽상, 성적 탈억제 등 때문에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갈망이 발생하는 특성입니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2월, 세계 최초로 프로포폴을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