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젖먹이
유아
어린애
베이비
어린이
애기
아이
d라이브러리
"
아기
"(으)로 총 968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 추위 녹이는 우리 자연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20여 일 동안 알을 함께 품는다. 엄마 혼자 알을 품는 것보다 엄마와 아빠가 함께 품으면
아기
새에게 전해지는 사랑도 두 배로 따뜻하지 않을까.5번 허물 벗고 번데기 견뎌야 나비 된다꿈을 이루기 위해 아픔을 견디는 자연의 이야기가 있다. 전혀 다른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 ‘탈바꿈(변태 ... ...
올 겨울 고비 맞는 신종플루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통해
아기
에게 항체가 일부 전달되기 때문에 수유부가 신종플루 백신을 접종받으면
아기
에서도 면역이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식약청 강석연 과장은 “임산부가 신종플루 백신을 맞아야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라며 “임산부가 신종플루에 걸려 고열을 겪으면 태아의 뇌가 손상을 입을 수 ...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옛날부터다. 따로 도구가 필요하지 않아서 편리했다. 그런데 아빠 손과 내 손의 크기,
아기
발걸음과 내 발걸음의 폭이 모두 다르다. 이렇게 다른 손 뼘이나 보폭을 ‘임의단위’라고 한다. 임의단위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이 ‘민속단위’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에서는 무게를 잴 때 금은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2% 정도에 지나지 않으면서 총에너지의 20%를 소모하는 에너지 먹보다.”“산모가
아기
를 낳을 때 커다란 머리를 밖으로 밀어내려고 고생하는 이유는 기초부터 체계적으로 설계되지 않은 탓에 ‘이것’이 비효율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이다.”“사람의 ‘이것’이 다른 동물의 것에 비해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됐다.그러고 보니 형용사 중에는 냄새에 관한 표현이 드물다. 장미꽃 냄새, 된장국 냄새,
아기
냄새… 대부분 명사를 빌려서 표현한다. 과거에 그런 냄새를 맡아보지 않은 사람은 다른 사람의 표현을 이해할 수 없는 게 후각이다.특정 냄새에만 반응하는 후각수용체엑설과 벅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 ...
세계적 여자 육상선수 세메냐, 결국 남자?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하지만 이때 의료진이 빨리 성을 결정해주지 않으면 가족들은 당황하게 된다. 누구나
아기
가 출생하면“아들이냐 딸이냐”를 묻게 되는데, 의료진이 “잘 모르겠다”고 얘기한다면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한편 성분화 이상은 자라는 과정에서 알게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경우는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보자. 정답은 40쪽에~.이런 표정, 눈에 확 들어와요!
아기
에게 무서운 표정을 보이면
아기
가 울고, 우스꽝스러운 표정을 보이면 웃는 모습을 본 적이 있지? 표정 짓는 법을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것처럼 기본적인 표정을 읽는 능력도 타고 나는 거야. 표정을 읽는 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좋아져. 10살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있다.배율 400배.마우스가족바이오문화상·초중등부 | 박지수·부산 연산초구멍에서 나온
아기
쥐들이 엄마 쥐를 따라 먹이를 찾아다니는 장면일까.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뎅이의 더듬이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이다. 배율 2000배.수목의 세대공존바이오문화상·일반부 |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살짝 들춰 보자.TENT - 길이 9km의 실이 15g2009년 8월 ㅇ일 오후 4시 날씨 : 맑음오늘은 ‘
아기
다리~고기다리~던’ 휴가가 시작되는 날. 내가 캠핑의 세계로 처음 발을 들여놓는 날이기도 하다.‘집 나가면 개고생’이라는 모 TV 광고가 떠올라 큰맘 먹고 고가의 텐트도 ‘질렀다’. 설레서일까. 어젯밤에는 ... ...
신생아도 숫자 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그렇지 않은 때보다 스크린을 훨씬 더 오랫동안 쳐다봤다.이에 대해 이자드 교수는 “
아기
가 눈으로 본 수와 귀로 들은 횟수를 연관지을 줄 안다는 증거”라며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숫자를 인식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간혹 숫자 개념을 아는 것처럼 행동하는 동물도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