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생리의학상│ 바이러스 사냥꾼들, C형 간염의 범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전 세계가 시끌시끌한 와중에 노벨 생리의학상은 또 다른 바이러스를 발견해낸 연구자들에게 돌아갔어요. 주인공은 C형 간염 바이러스! 세계 4대 감염질환으로 꼽히는 C형 간염의 범인, 어떻게 찾아냈을까요? 간암 일으키는 ‘바이러스X’를 찾아라!노벨 생리의학상은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한 ... ...
- [술기로운 동물원 생활] 턱끈펭귄 │ 동물원 수의사가 남극에 간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지난 2019년 11월, 극지연구소의 펭귄행동연구자 이원영 박사, 프랑스국립연구소 뇌파연구자 폴 앙투앙 리부렐 박사와 함께 남극 펭귄 마을로 떠났습니다. 저는 연구 과정에서 펭귄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진찰하는 역할이지요.연구 목적은 펭귄의 몸에 장치를 달아 뇌파 변화를 관찰하는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Q지난 8월 공개된 거투르드 모습을 교수님께서도 생중계로 시청하셨다고요?저 같은 BMI* 연구자들은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채널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너무나 기뻐요. BMI 기술이 실용화되려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편리하고 정밀하게 뇌 활동을 읽어낼 수 있어야 해 기대감에 시청했지요. ... ...
- [헬라세포] 위대한 유산을 남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기관생명윤리위원회’라는 곳에 연구 계획서를 제출해 심사를 받아야 해요. 연구자는 인체유래물을 기증하는 사람에게 반드시 동의를 얻고 연구 내용을 충분히 설명해야 하죠. 또한, 보존 기한이 지나면 인체유래물을 폐기해야 합니다. 기증자의 권리와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지요. Q ... ...
- [헬라세포] 100년 만에 보상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헨리에타 랙스를 치료하던 의료진은 그의 암세포 조직을 떼어내어 병원의 세포생물학 연구자인 조지 가이에게 보냈어요. 당시 조지 가이는 실험실에서 인간 세포를 배양하려 시도하고 있었어요. 인간 세포는 몸 바깥에서는 잘 자라지 않아 연구가 힘들었거든요.그런데 헨리에타 랙스의 암세포는 ... ...
- [탐험대학] 만지고, 깎고, 발표하고! 공룡 연구실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추측할 수 있지요.”박진영 연구원은 “우리나라에서도 화석이 발견되는 지역이 많지만, 연구자가 적어 제대로 된 발굴을 통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안타까움을 토로했어요. 우리가 자주 접하는 거대한 공룡화석의 경우 몽골 등 해외 발굴을 통해 수집하고 연구한다고 말했지요 ... ...
- [현장취재] 무당개구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부근 등산로에서 이루어졌어요. 사람들의 손길이 많이 닿은 이곳에서 시민과학자들은 연구자들과 함께 무당개구리를 채집하고, 수질검사기를 통해서 환경오염 정도(TDS, EC)를 측정한 뒤, 기형으로 보이는 무당개구리를 찾아보았답니다. 첫 탐사에서 총 20마리의 무당개구리를 채집했고, 두 마리의 ... ...
- [과학뉴스] 아프리카, 소아마비와의 전쟁 끝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소아마비로 목숨을 잃거나 장애가 생길 정도로 치명적이었어요. 그러다 1955년 미국 의학연구자이자 바이러스 학자인 조너스 소크 박사가 백신을 개발하면서 전 세계에 활발히 보급되기 시작했어요. 소크 박사는 백신이 널리 쓰이길 바라는 마음에 특허권을 등록하지 않았거든요. 1994년엔 아메리카 ... ...
- [헥!헥! 물리학자] 이 사막에서 원자 폭탄을 실험했다고? 맨해튼 프로젝트 한강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사이트는 매년 4월과 10월 첫 번째 토요일에만 방문이 허락돼요. 필자도 핵물리학 연구자로서 역사적인 장소를 방문하고 싶어 1년에 딱 두 번만 주어지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찾아갔어요.특히 인상적이었던 것은 ‘트리니타이트’라고 불리는 푸른 조약돌이었어요. 실험에서 발생한 열 때문에 ... ...
-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 라이브 show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4개월간 총 1만 2866건의 탐사기록이 올라왔어요. 대원들이 올려준 탐사기록은 각 생물종 연구자들이 내려받아 연구 논문 자료로 쓰일 예정이에요. 하반기에도 많은 탐사 응원할게요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