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로
무
영포
포영
영도
공
재
d라이브러리
"
영
"(으)로 총 481건 검색되었습니다.
비 활동성의 과학적 고찰 게으름, 탓할것만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소리가 들리지 않게 했다.‘제임스 보스웰’씨는 이렇게 말한바 있다. “이상하게도
영
국에서는 게으른것으로 평판이 난 사람들이 위대한 저작을 많이 남겼다”.프랑스에서는 ‘르네데까르트’가 게으름으로 유명했다. 그는 난로없이 못사는 사람이었다. 난로가에서 불을 쬐면서 조는듯한 ... ...
PART2 미국의 탐사 개발계획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것이다. 그리고 세번째는 그곳에 전초기지를 건설하고 2022년엔 본격적으로 화성기지를 운
영
하게 된다. (그림6)이러한 문제는 그리 쉽게 이루어질 수는 없다. 아직 극복해야 할 문제로서 사람을 보낼려면 1천톤이 넘는 자재를 우선 운반해야 하며, 극한(-150℃) 조건에서 모든 기기가 제대로 작동이 될 ... ...
방사능의 위험 과소평가돼 왔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확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방사선의 안전기준치를 당장 엄격히 하지는 않기로 했다. 한편
영
국방사선 방호 위원회는 이 결정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1월 잠정지침을 통해 방사능 허용치를 원자력 근로자의 경우는 현재의 $\frac{1}{3}$로, 일반인의 경우는 $\frac{1}{2}$로 줄이기로 결정했다. 기준치의 ... ...
우리말 무른연모도 만들자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지나'(china, 중국)글자와 말의
영
향을 깊게 받아 우리말의 근본을 꽤 잃었고 지금도 그
영
향이 심하다. 이글을 쓰면서도 한자말을 쓰지 않을수 없는 것에 부끄러움이 앞선다. 어떤 미국사람이 세계 여러나라의 글을 다루는 글에서 우리나라나 일본의 글자들은 지나말에 토씨정도나 붙인다고 하였는데 ... ...
쌍용그룹이 인수한 스포츠카메이커 팬더카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자동차공업에 전수할 수 있을 것인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보겠읍니다." 팬더카를 운
영
하는 쌍용U.K. 김보웅 사장의 말처럼 한국 자동차공업의 발전을 위해 팬더카의 경험과 기술이 한몫 기여해주어야만 하겠다 ... ...
산학 협동으로 현장교육 중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학생들의 시야를 넓히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앞으로 내실위주의 대학운
영
과 재단의 보다 강력한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의욕적인 젊은 교수진과 공업단지에 위치한 이점을 살려 현장실습교육, 취업기회의 확대, 산업체의 장학금 확보 등이 빛을 발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최대의 ... ...
영
·불 해저터널 뚫는 거대드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만들어졌다. 이 드릴의 절삭(切削)헤드는 1백50m나 된다. 이 거대한 드릴은 25km길이의
영
·불 해저터널공사(12월 착공예정)에 쓰여지게 되는데 공사는 오는 93년 끝날것으로 보인다. 이 드릴의 직경은 5.38m, 무게는 6백t이나되며 단순히 굴만 뚫는데 쓰이는게 아니고 콘크리트 내장일, 바닥과 ... ...
유병설/약학 약학은 생명체 다루는 종합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발전은 약속될 것이 분명하다.이를 인식함인지 최근 약학대학 졸업생에 대한 요구가 약학
영
역을 비롯한 생명과학 분야에서 급격하게 늘고 있다. 단지 현재로서는 그 수요를 공급이 따를 수 없는 것이 안타깝다.현재 약학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이 대학원 진학과 외국유학뿐 아니라 약학 연구자로서 ... ...
혈액검사 만으로 대부분의 질병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하면서도 무리를 거듭하고 있는것이 실정이다. 검사를 받아 어떤 병이 발견되면 일생에
영
향이 미친다고 생각하여 건강진단을 꺼리는 사람도 있다. 현대는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관리해야하는 시대다. 그렇지 못한 사람은 적어도 관리자로서는 부적격자라 할수 있다. 그러므로 건강진단은 반드시 ... ...
빛 이야기 태양숭배에서 레이저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것을 고려한다면, 빛은 파동과 입자의 두가지 면을 지녔다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영
국의 물리학자 에딩톤(1882~1944)은 빛의 이중성을 전제로 하고 그와 같은 존재를 물질파라고 부르기까지 했다. 끝으로 빛의 역사 및 본질과 관련시켜 생각해 볼 것은 새로운 빛인 '레이저'이다. 1917년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