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지"(으)로 총 1,335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않았다. 최 교수가 먼지보다도 작은 점을 가리키자 그제야 눈에 들어왔다.“유성운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와 3년 전에 만든 마이크로 로봇을 개선한 겁니다. 총 6년 정도가 걸렸네요.”최 교수와 유 교수는 DGIST 설립 초기 멤버로, 전공은 달랐지만 평소 친하게 지냈다. 서로 어떤 연구를 하는지 잘 ... ...
- [수학뉴스] 물고기 구피의 수학 실력은 후천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자란 구피는 물고기 수를 구분하는 능력이 높다는 겁니다.이 결과는 동물은 상황에 따라 인지 기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를 따릅니다.연구는 ‘행동생태학과 사회생물학’ 1월호에 실렸습니다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변화가 나타났다.하지만 애슬 박사는 “뇌 훈련이 뇌파를 변화시켰을 수 있지만 특정 인지 과제에 대한 뇌기능을 향상시키는지는 알 수 없다”며 “뇌 훈련이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미약하고, 뇌 기능이 어떻게 바뀌어 가는지 현재로서는 아는 바가 거의 없다”고 적었다. 연구결과는 ...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해, 초기 발견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됐다.구재형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와 김민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은 빅데이터기술을 적용해 RNA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환을 정밀하고 빠르게 진단하는 ‘MRPrimerV’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내려 조종해야 한다.사람은 인지능력과 사고능력, 운동능력이 있다. 로봇이 사람처럼 인지하고 생각하고 행동하려면 이 세 가지 능력을 모두 갖춰야 하고, 또 서로 조화를 이뤄야 한다. 전문가들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로봇이 학습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또 인공지능 기술로 로봇이 스스로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아무리 봐도 지문 인식기가 없네. 그럼 지문으로 여는 건 아닌가 보군. 앗? 저기 저건 카메라? 아, 그래! 최근에 카메라가 홍채를 인식하자 스마트폰 잠금이 해제되는 모습을 광고에서 본적이 있어. 그렇다면 홍채가 열쇠?양쪽 눈도 서로 다른 홍채의 근육 모양!우리 눈을 가까이 들여다보면 큰 원 안 ... ...
- 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안녕, 난 세계 최고의 도둑 ‘괴도 키드’라고 해. 세상에 내가 못 훔칠 물건은 하나도 없지. 왜냐하면 난 누구도 갖지 못한 만능열쇠를 갖고 있거든. 이 만능열쇠만 있다면 세상에 열지못하는 문은 하나도 없다고 우하하~!그런데 최근 도둑들 사이에 요상한 소문이 퍼지고 있어. 박물관에 내 만능열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절대 변하지 않는 지문! 지문은 태아 상태로 엄마 뱃속에서 자라는 동안 손가락 피부가 만들어질 때 생기는 주름이에요. 각자의 피부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엄마 뱃속에서 함께 자라는 쌍둥이도 서로 다를 정도로 고유한 정보지요.이러한 사실은 1800년대 중반 처음 밝혀졌어요. 영국의 의사였던 헨 ... ...
- 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옆에 이름을 나타내 게시물에 표시할 수 있게 돕지요.유장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인지기술연구부 책임연구원은 “앞으로 생체 인식 기술이 사람의 표정에서 감정을 읽을 수도 있을 것이다”라며 “보안과 금융은 물론 마케팅 등 아주 다양한 방면에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답니다 ... ...
- INTRO. 거꾸로 보면 작아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히가시야마 아츠키 교수는 ‘가랑이 사이로 본 세상’이란 연구로 올해 이그노벨상에서 인지상을 받았어요. 히가시야마 교수는 어떤 사물을 똑바로 서서 볼 때와, 뒤로 돌아 허리를 굽혀 다리 사이로 볼 때 사물이 달라 보인다는 것을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았죠.히가시야마 교수팀은 이 연구를 위해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