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d라이브러리
"
전력
"(으)로 총 1,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카알과 주울의 엉뚱기발한 에너지 어드벤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힘으로 전기를 만들어 영화를 상영하는 영화관을 열었다. 영화를 상영하는 데 필요한
전력
은 최소 600W. 관객들은 자전거 열 대를 돌려 이 전기를 얻는다. 만약 페달을 충분히 힘껏 밟지 않아 전기가 부족할 경우에는 조명이 꺼지고 경고등이 켜진다.카알의 에너지카드❺버리는 열 모아 에너지로~!아~, ... ...
내 머릿속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줄이기 위해 초저
전력
회로 설계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르면 10년 안에 외부
전력
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반영구적 브레인 임플란트 기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필자는 본 연재의 1편에서 “뇌의 모든 부분에 미세바늘을 꽂고 전기 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하면 이론적으로 모든 뇌 ... ...
교통사고 사망자 ‘0’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4개인 쿼드코어 CPU도 등장했다. 멀티코어는 동급 성능을 발휘하는 싱글코어에 비해
전력
효율이 좋고 여러 일을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인 멀티태스킹 성능이 더 뛰어나다.그런데 컴퓨터 CPU의 성능이 차량동역학 및 제어연구와 무슨 관계가 있을까. 이경수 서울대 교수가 이끄는 차량동역학 및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건강에 대해 크게 염려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그러나 현대 사회는 기술 의존도가 높아서
전력
시설이 태양폭풍에 영향을 받는다면 대규모 정전이 일어나는 등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커질 수 있다. 태양을 더 잘 이해하고, 태양 활동이 끼칠 영향을 예측해 적절히 대비하는 일은 우리가 받을 피해를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연료의 대안으로 생각해 왔던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여전히 가능성만을 열어둔 상태다.
전력
생산만 놓고 봐도 전체의 2.9%에 불과하다. 지식경제부가 6월에 신재생에너지 부문 R&D에 총 3737억 원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발표했지만 화석연료를 대신하기에는 아직도 갈 길이 멀어 보인다.석유 매장량이 ... ...
연료전지 2020년 실용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주축이 되는 식이다. 배터리는 기존처럼 주행 중에 충전돼 에어컨 등 필요한 부분에
전력
을 공급할 수 있다.에틀 촉매연구센터의 또 다른 연구분야는 이산화탄소 재자원화다.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속 탄소를 이용해 탄화수소 등 실용적인 탄소 함유 분자로 만드는 기술이다.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위성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일식’이 10% 이하 조건일 때 초기 운용에 필요한
전력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됐다. 즉 위성이 지구 때문에 태양 에너지를 못받는 시간이 2.4시간 이내일 때를 계산해 발사 시간을 정하게 된다. 이 같은 여러 조건을 고려해 3차 발사 시간은 오후 3시 30분에서 ... ...
내장형 저
전력
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계속할 수도 있다. 날로 심각해지는 지구의 에너지 자원 고갈 등을 생각하면, 내장형 저
전력
공학은 앞으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할 것이다. 때문에 인력수요는 꾸준할 것이다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좋은 대안만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당장 원활한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많은
전력
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원자력 발전을 비교할 수 없는 유일한 대안처럼 볼 수도 있다. 현재 인류의 에너지를 어떻게 얻을 것인가와 함께 지구 온난화와 환경오염에 대한 연구는 생물다양성의 감소와 ... ...
내장형 저
전력
연구실, 더 오래가는 스마트폰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있어도 실제 위치는 세계 어느 곳이나 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게 지론이다. 내장형 저
전력
연구실의 경쟁자도, 공동연구자도 모두 세계에 퍼져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학생들과 주고받는 이메일도 영어로 쓴다. 공동 연구하는 외국인 연구자와 함께 소통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국내에서 학위를 딸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