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밀"(으)로 총 2,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느낌이 든답니다. 여기에 센서와 가속도계, 나침반이 게임기를 착용한 사람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해 움직이는 방향이나 시선에 따라 렌즈에 보이는 화면을 맞춰 보여 준답니다.어때? 28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렇게 큰 변화가 있었다니 참 신기하지? 이번에 본 기사 내용을 엄마, 아빠와 함께 이야기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발전시켰다. 이론적으로 표준모형은 매우 아름다운 대칭성을 가지고 있고, 엄청난 정밀도의 이론적 예측을 가능하게 해주는 대단히 높은 완성도를 보이고 있다. 표준모형의 대칭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몇 년 연구를 해야 할 정도로 어렵지만, 한번 깨달으면 그 아름다운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알아낼 수 있지 않을까?”“달라지는 건 없어. 여왕의 꿈 속에서는 과학에 필수적인 정밀함이 유지될 수 없어. 몇 천 년이 지나도 남은 건 혼란스러운 꿈뿐이야. 시간은 충분히 줄 테니 생각해 봐. 하지만 답은 하나야. 여왕이 죽으면 당신들도 죽어. 여왕이 살면 적어도 당신들을 기억할 거야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명왕성에 최대한 가까이 가기 위해서는 궤도 주기 등을 정확하게 계산해 비행 방향을 정밀하게 정해야 했어요. 이뿐만 아니라 영하 230℃ 이하의 환경에서도 기계장비들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열을 내는 히터를 설치하는 등 사소한 것까지도 신경써야 했지요. 이런 노력 끝에 약 200명으로 구성된 ...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깨끗했다면 지문이 선명하게 남지 않을 수 있거든요. 일일 과학수사관들은 지문을 좀 더 정밀하게 채취하기 위해 형광분말을 사용하기로 했어요.붓을 이용해 형광분말을 묻혀 지문이 있는 곳을 부드럽게 쓸어낸 뒤 푸른빛을 비추었어요. 그러자 형광색을 띠는 지문이 더욱 선명하게 보였어요. ... ...
- 핵테러, 실험실에서 원천봉쇄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따르면, 프랑크푸르트 근교에서 이 핵물질을 만드는 곳은 세 군데!두 달 내 정밀분석을 실시하라이제 정말 중요한 단계다. 세 군데 공장 중 어디서 이 핵물질을 만들어냈는지 밝혀야 한다. 시간은 계속 흐르고 있다. 우선 공장 세 곳의 공정흐름도를 입수했다. 각 공장의 특이점을 찾아야 한다. 거의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사용하기 때문에 위치를 알려주는 오차범위가 GPS만을 이용했을 때(50m 안팎)보다 5배 정밀(10m 안팎)하다. 게다가 가격도 1000만 원을 호가하던 기존 장비에 비해 5분의 1 수준(180만 원)으로 저렴하다.한승우 연구원은 “위치추적기술이 없거나 너무 비쌌던 과거에는 철새에 가락지를 끼워서 어디에 있던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머리카락, 범행도구에 묻은 페인트 등을 가리켜 모두 ‘미세 증거물’이라고 해요. 점점 정밀해지고 있는 현미경 기술의 발달로 미세 증거물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답니다.미세 증거물로 알아본 범죄의 재구성O월 OO일 밤, 2층에 위치한 어느 가정집에 도둑이 침입했다. 경찰은 잘린 ...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시냅스는 각각 20nm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런 뇌의 활동을 보기 위해서는 장비가 정밀할수록 유리하다.미국 브라운대 이준희 연구원과 서울대 송윤규 교수 공동 연구팀은 광유전학기술을 이용해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뇌신경 측정 장비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뇌신경을 자극하고 동시에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김담 혼자만의 노력으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는 없다. 김담의 멘토였던 이순지와, 정밀한 관측기구를 만들었던 장영실, 이천 등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하지만 세종은 물론 이순지와 장영실, 이천은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헌정돼 있을 정도 그 업적을 인정받고 있는 반면 김담은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