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임"(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탐사로봇 오퍼튜니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일이 있었냐고요?도움★김경자(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지질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이우섭(한국과학기술연구원 로봇·미디어연구소 선임연구원), Tanya Harrison(미국 아리조나대학교 뉴스페이스 연구소 디렉터)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화성탐사로봇 오퍼튜니티Part1. ...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들었는데, 탄소 저장이라는 새로운 시각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며 뿌듯해했다.박 책임연구원은 “8월 열대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축주에서 열대해양캠프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여기서 더 새로운 해양생태계의 가치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만큼 많은 청소년들이 지원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국내에 있는 3대의 전파망원경(한국우주전파관측망)이 여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손 책임연구원은 “Sgr A*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지만, 현재 많은 부분을 해결했으며 머지않아 그 결과를 공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영화 ‘샤잠!’으로 본 ‘핵인싸’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확립을 위해 청소년에게 필요한 요소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먼저 어떤 집단에 속해서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소속감을 경험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울타리 밖에서 새로운 무언가를 경험하고자 하는 탐색의 과정도 겪어야 합니다. 이 둘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입니다. 두 경험 사이의 비율이 ... ...
- 세계 첫 민간 달 착륙선 '베레시트' 실패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우주에 대해 이야기하게 된 것이 베레시트 시도가 갖는 가장 큰 의미”라고 말했다. 류 책임연구원은 “이번 시도로 이스라엘이 2년 뒤 재도전에 성공할 가능성은 높아졌다”며 “한국도 달 탐사를 성공시키기 위해 핵심적으로 필요한 선행기술을 꾸준히 개발해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doi:10.1126/science.aal1579또 지난해 3월에는 트리스탄 기요 프랑스 코트다쥐르천문대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목성 탐사선 ‘주노’와 토성 탐사선 ‘카시니’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목성, 토성 등 거대 행성 내부의 초저온, 초고압 환경에서는 수소가 금속 상태로 ... ...
- [화보] 지구에서 깊은 우주를 담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대상으로 뽑혔다. 이번 대회 선정위원장인 전영범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책임연구원은 “안드로메다 은하를 찍은 사진이 많지만, 특별히 이 사진은 은하 바깥쪽의 나선팔이나 은하 안쪽의 어두운 천체까지 선명하게 나타났다”며 대상 선정 이유를 밝혔다. ▶▼ 셀 수 없는 Dark patch / ... ...
- Part 2.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양측의 주장을 들어보니 좀 어렵군요. 크리스퍼의 원리를 보다 분명히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겠어요. 크리스퍼(유전자가위)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유전자를 원하는 대로 자르고, 붙이고! 크리스퍼는 인간이나 동식물의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을 말해요.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자르거나, 잘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응답시간 분포도’를 고안한 김성조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만나 프로그래밍에 숨어있는 수학적 아이디어를 물었다. 와탭랩스는 어떤 회사고 어떤 일을 하시나요?와탭랩스는 웹 서버가 잘 작동하는지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 ...
- Part 1. 에이즈 예방 VS 실패한 연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지난해 11월 중국 남방과학기술대학교의 허젠쿠이 교수는 ‘인간 유전자 편집 국제회의’에서 크리스퍼 실험을 통해 에이즈에 걸리지 않는 쌍둥이가 태어났다고 발표했어요. 이 소식을 들은 과학계는 허젠쿠이 교수의 연구에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합니다. 양쪽 변론 시작하시지요. ● 사건 요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