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토대"(으)로 총 1,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새의 깃털 구조를 광학적으로 분석해 그 결과를 여 교수에게 보내면, 여 교수는 이를 토대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어떤 규칙성이 있는지 찾아내는 방식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새의 케라틴 구조는 짧은 길이로 나눠져 있는 반면, 쇠유리새의 케라틴 구조는 실처럼 길게 이어져 ... ...
- part 3. 야구 보며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우리는 밀레니엄 난제를 발표한 클레이 수학연구소를 가려고 미국을 여행지 목록에 넣었어요. 그런데 목적은 따로 있었지요. 사실 우린 야구로 뭉 ... 보고 오는 문제를 풀었어요. 프래트 연구원은 미국 메이저 리그 2015년 6~7월 경기 일정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24.8일에 걸친 동선을 짰어요 ... ...
- [전지적 수학 시점] 메이플스토리, 내분점으로 방어율을 뚫어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손놀림도 고수의 비결 중 하나입니다. 최근 영국의 케임브리지대학교와 핀란드의 알토대학교 연구팀이 16만 8000명을 대상으로 키보드 누르는 방법을 분석한 결과 속도가 빠른 사람들 대부분이 ‘롤오버’ 기법을 사용했다고 해요. 롤오버 기법은 여러 키를 연속해서 누를 때 이전에 눌렀던 키를 떼기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생명과학과 교수와 조슬린 블로흐 로잔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마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신경 치료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8-0649-2, doi:10.1038/s41593-018-0262-6 극중 이수연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해도 감각을 느끼지는 못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
-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소설과 영화에도 등장했다. 일본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과 이 소설을 토대로 만든 같은 이름의 영화에서 우애수는 이야기 전개를 위해 중요한 소재로 쓰였다. 주인공은 장래가 촉망되는 수학자였지만 불의의 사고로 기억이 80분 동안만 유지되는 박사다. 박사가 쿄코라는 여자 주인공과 ... ...
- [과학뉴스] 구름을 입체 지도로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그리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연구진은 2013년 4월 26일 저녁, 독일 전역의 날씨 자료를 토대로 독일의 하늘을 3차원으로 그렸어요. 우선, 온도, 습도, 구름의 종류와 같은 기상 자료를 경도와 위도에 따라 작은 단위로 나누었어요. 그런 뒤 이 자료를 연구진이 만든 날씨 예측 프로그램에 입력하고 ... ...
-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수리생물학은 생물학에서 다루는 문제를 수학을 이용해 푸는 것입니다. 보통 방정식을 토대로 만든 수학 모형이나 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지요. 최근에는 병원과 협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근무하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수리연)도 한 의과대학과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승규 ...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고, 각막처럼 연한 조직을 섬세하게 절개할 수도 있다. 1985년 생애 첫 논문이 노벨상 토대그간 과학자들은 펄스 레이저의 첨두 출력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해왔다. 단순히 레이저의 에너지를 올리는 방법은 한계에 다다랐다. 레이저의 에너지를 높이면 첨두 출력은 높아지지만, 증폭 매질과 반사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사진에는 류구 외에 주위의 별까지 함께 찍혀 있습니다. 바로 이 배경 속 별의 위치를 토대로 류구와 하야부사2의 위치와 속도를 계산했고, 류구에 도착하기 위한 최적의 궤도를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하야부사2는 발사 후 정확히 1302일 뒤인 2018년 6월 27일, 목표했던 류구 고도 20km 지점에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통해 근관세포가 휘어있는 형태일 때 수축이 가장 잘 이뤄진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이를 토대로 배지 가운데 원형 관을 만들어 이 주위로 근관세포를 키웠다. 그 결과, 근관세포들이 점점 수축하면서 도넛 모양의 근육조직 하나가 완성됐다. 이렇게 완성된 근육조직이 100경(1016) 개 가량 모이면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