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찌꺼기
뉴스
"
남은것
"(으)로 총 1,110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금도 진행형인 과학기술계의 비정규직 차별
2020.11.19
며칠전 페이스북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의 사업별 신청자격을 우연히 보게 됐고, 즉시 분노를 금할 수 없었다. 젊은 과학자 1000명에게 5년간 인건비와 소정의 연구비를 지원한다는 이 사업의 기저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나서도 안정적인 연구 ... ...
하버드대 연구진 "적혈구에 실어나른 약물로 폐 전이암 치료"
연합뉴스
l
2020.11.18
케모카인 나노입자, 적혈구와 결합해 혈액 잔존 기간 늘려 종양 성장 억제+재발 차단 효과… '네이처 생의학 공학'에 논문 유방암 종양에서 분리되는 CTCs(순환 종양 세포 클러스터)의 이미지. CTCs는 포도송이처럼 뭉친 암세포 무리로 전이암의 씨앗과 같다. [미 존스홉킨스의대 제공 / 재판매 및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잠이 최고의 보약
2020.11.1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남편은 수면 천재다. 배개에 머리를 붙였다 하면 3초 만에 깊은 잠에 빠지는 신통방통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장거리 비행기 안에서도 잠을 잘 자지 못해서 내리 열몇시간을 고통받는 나와 달리 앉아서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바로 깊은 잠에 빠져든다. 식사 때는 용케 깼다가 먹 ... ...
생체 시계의 숨겨진 기능, 인슐린 분비 세포도 재생한다
연합뉴스
l
2020.11.12
생체 리듬 정상인 생쥐, 췌장 베타 세포 활발히 재생 생체 리듬 깨지면 재생 못 해…스위스 제네바대 연구진 논문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 세포(녹색) 핵(청색)에 착색된 증식 마커(적색) [제네바대 하르나 디프너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 몸의 피부나 간은 손상된 부분을 스스로 재생하 ... ...
[이덕환의 과학세상]황금 동전 실험의 화재 예방
2020.11.11
황금 동전 실험 후 5시간이 지나 발생한 화재로 불타버린 초등학교 과학실(오른쪽)의 모습이다 담당 교사에게는 300만원의 벌금형이 선고되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산연구소 제공 학교 과학실에서 ‘황금 동전(golden penny)’ 실험을 하고 남은 아연 찌꺼기를 버린 휴지통에서 화재가 일어나는 경 ... ...
독감백신 접종후 사망신고 누적 88명…"83명은 인과성 낮아"(종합)
연합뉴스
l
2020.11.03
지난달 31일 대비 5명 증가…16명은 접종 후 24시간 이내 숨져 발열·국소반응 등 전체 이상반응 신고는 총 1천736건 [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올해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을 맞은 뒤 사망했다고 신고된 사람이 90명 가까이로 늘어났다. 보건당국은 이 가운데 83명의 사망 원인을 조사한 결 ... ...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수능, '30일 수면 관리' 어떻게
연합뉴스
l
2020.11.02
12월 3일 수능…"지금부터 기상 시간 아침 7시 이전으로 조절"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12월 3일로 예정된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온라인 원격수업이 많아지면서 수면 패턴 등 컨디션 관리에 어려움을 ... ...
[표지로 읽는 과학]침팬지도 나이 들면 오랜벗과 지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5
사이언스 제공 로라 카스텐슨 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과 교수는 1992년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을 발표했다. 인간은 나이를 먹어가면서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시간을 투자하기보다는 오랫동안 가까이 지내온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는 걸 선호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남은 생이 얼마 없고 ... ...
일차 섬모 손상된 생쥐 모델에서 심한 비만 나타나
연합뉴스
l
2020.10.22
연세대 치대 연구팀, 일차 섬모의 에너지 대사 기능 밝혀 [김기우 교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치대 김기우 교수 연구팀이 뇌 신경세포에 존재하는 일차 섬모가 에너지 대사와 뼈 항상성 조절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일차 섬모는 세포에서 ... ...
[오늘의 뉴스픽] 꿈조차 꾸기 어려운 국감 현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21일 이른 아침 지구에서 3억3400km 떨어진 소행성 베누에선 멋진 '터치다운'이 있었습니다. 지름 500m밖에 안 되는 작은 소행성 주변을 돌던 시내버스보다도 작은 탐사선 ‘오시리스-렉스’가 베누에 3.4m 거리까지 근접해 표면 자갈과 모래를 들어 올리는 데 성공한 것입니다. 오시리스-렉스는 베누에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