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안
창안
발명자
창시
창설
발명품
개발
뉴스
"
발명
"(으)로 총 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매
발명
가’ 나란히
발명
왕 올라
2016.05.20
목표를 잡았다.
발명
품 개발에 도움이 될 학문이라고 생각해서다. 안 씨는 “우리 자매의
발명
품을 토대로 세계적인 가족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즐거움을 만드는 과학!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13
교정해 주는 스노우보드와 애니메이션이 나오는 테이블 등 여러 가지 즐거운 과학
발명
품들이 가득했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원더랩의 지도교수님이신 이우훈 교수님께 왜 이런 연구를 하시는지 여쭤 봤지요. 이 스노우보드는 압력에 따라 불빛이 켜져서 올바른 자세를 잡게 도와 줘요! - 정한길 ... ...
2000회 앞둔 국내 대중 과학 강연 원조 ‘금과터’
2016.05.13
대광
발명
고 재학 당시 금과터에서
발명
아이디어를 다수 얻었다. 지난해 김 군은 우수한
발명
성과로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중학생 때 금과터를 꾸준히 찾았다는 이강현 군(16·부산일과학고)은 “금과터 강연 내용을 바탕으로 자료를 찾다 보면 자연스럽게 연구 논문까지 읽게 돼 과학고 ... ...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 속 슈퍼영웅, 과학적으로 가능할까
2016.05.08
등장할 법한 초인은 있는 것일까. 이들을 창조해낸 영화 속의 여러 가지 ‘그럴 듯 한’
발명
은 정말 과학적으로 설득력이 있는 걸까. ●첨단장치의 힘으로 싸우는 ‘기계파’ 아이언 맨은 궁극의 ‘웨어러블 로봇’ 형태를 보여 준다. 로봇 공학자들은 아이언맨 슈트가 실용화 되려면 인체의 ... ...
정전기에 드론까지…미세먼지 잡는 기술 어디까지 개발됐나
2016.04.29
적게 들고 친환경적이다. 미세먼지가 가진 극성을 이용하는 기법도 나왔다. 네덜란드
발명
가인 단 로세가르더는 땅속에 코일을 묻은 뒤 정전기장을 발생시켜 미세먼지가 땅에 달라붙도록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전기를 띤 책받침이나 풍선 표면에 먼지가 잘 달라붙는 것과 같은 원리다. 그는 이 ... ...
속 악당이자 갑부인 렉스 루터가 OS 시장을 장악하고자 한 이유는?
2016.04.21
있다. 그 회사의 이름은 LexCorp, 슈퍼맨의 숙적이자 뛰어난 재능을 타고난 과학자이자
발명
가인 재벌 렉스 루터가 소유하고 있는 가상의 회사다. 시리즈에 등장하는 LexCorp은 항공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사업을 시작하여 거의 모든 산업 분야로 진출한 전세계에서 가장 큰 재벌 기업으로 ... ...
테슬라만의 성공 비결 세 가지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4.06
있습니다. 테슬라로고 테슬라가 전기차를 처음 만든 것이 아닙니다. 1888년 독일의
발명
가 안드레아스 폴로켄이 플로켄 엘렉로바켄이라는 전기차를 처음 만든 이후 수많은 전기자동차가 등장했습니다. 테슬라 이전에 GM 같은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도 이미 전기차를 생산했습니다. 그런데 많은 ... ...
[창간96주년/교통의 新미래/모빌리티 혁명]‘마이카’에서 ‘나눔카’로… 화석연료 밀어낸 친환경 실험
동아일보
l
2016.04.06
9세기 증기기관차
발명
200여 년 만에 ‘제2차 교통혁명’이 시작됐다. 사람들이 필요할 때마다 언제 어디서든 교통수단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모빌리티(mobility·이동성) 혁명’과 도로와 철도 등 평면 교통 인프라에 구애받지 않는 무인항공기(드론)를 활용한 ‘물류 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 ...
[배트맨 VS 슈퍼맨] 배트맨은 왜 슈퍼맨과 싸울까?
2016.03.30
사랑을 받게 됩니다. 배트맨의 가장 큰 매력포인트는 만능밸트, 즉 유틸리티 밸트인데,
발명
을 좋아하는 브루스웨인이 자신의 신체적 한계(슈퍼맨과 달리 배트맨은 초능력이 없죠!)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장비입니다. 그 당시 아이들은 저마다 유틸리티 밸트를 가지고 싶어 했고, 마스크를 쓰고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2016.03.24
밝았다. 케플러는 18개월에 걸쳐 이 별을 관찰한 결과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망원경이
발명
되기 전이라 맨눈으로 관측했다. 이 별은 그해 11월에는 태양 뒤로 사라졌다가 이듬해인 1605년 5월 1일에는 새벽 동쪽 하늘에 다시 나타났다. 이때는 조금 어두워져 있었고 다시 1년쯤 뒤에는 맨눈으로 보이지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