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양쪽"(으)로 총 595건 검색되었습니다.
- [REVIEW] 프로 애플러 기자가 직접 쓴 아이패드 프로 9.7 사용기2016.05.26
- 다르게 보인다. 주변 환경에 따라 색 온도를 맞춰주는 기능이다. 아이패드 프로 위쪽의 양쪽 귀퉁이에는 자그마한 센서가 달려 있다. 이 센서는 주변의 빛을 읽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아이패드는 그 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자연스러운 색을 만든다. 디지털 카메라가 빛을 읽어 화이트밸런스를 ... ...
- 드론, 날다 지치면 잠시 쉬어가렴~2016.05.20
- 속도를 줄이지 않고도 다리를 이용해 벽에 들러붙는다. 연구진은 마이크로 글라이더 양쪽에 달린 팔 2개에 바늘 모양의 길고 뾰족한 ‘스파이크’를 달았다. 마이크로 글라이더의 센서가 벽을 탐지하면 이 스파이크가 벽 표면을 살짝 찔러 몸체를 벽에 고정시켜 휴식을 취하게 돕는다. 스파이크는 ... ...
- “귀여워” 머리 둘 도마뱀, 인기팝뉴스 l2016.05.18
- 하나의 몸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이 동물은 ‘턱수염 도마뱀’이다. 머리 뒤에서 좌우 양쪽을 따라 목까지 긴 가시 같은 비늘이 덮여 있다. 흥분한 상태에서 목을 부풀어 올리면 마치 턱수염처럼 보인다고 해서 턱수염 도마뱀이라 불린다. 이 도마뱀은 현재 미국 LA에 살고 있다. LA에서 기상천외한 ... ...
- 이차원 나노 물질에서 전하 빨리 움직이는 이유 찾아2016.05.16
- 상대적으로 안정한 이황화텅스텐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즉 정공이 양쪽에 동시에 존재하는 양자역학적 현상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방 연구원은 “이번에 발견한 원리는 향후 이차원 물질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광합성, 물 분해 과정 등 생명 및 화학 현상 연구에 있어서도 크게 기여할 ... ...
- 즐거움을 만드는 과학!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05.13
- - 정한길 기자 jhg1road@donga.com 제공 “비결은 ‘초음파 거리 센서’에 있어요. 시소의 양쪽 아래에 붙어 있는 이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해 기자단 친구가 바닥에서 얼마만큼 올라와 있는지를 측정해요. 두 친구가 바닥에서 떨어진 거리 차이를 계산하면 시소의 기울기를 계산할 수 있답니다.” ... ...
- [Health&Beauty]자고 일어나면 허리가 아프고 뻣뻣?동아일보 l2016.05.11
- 추정된다. 강직성 척추염에 걸리면 초기에는 염증으로 인한 통증이 허리 아래쪽이나 양쪽 엉덩이에 번갈아 발생하고, 아침에 시작된 경직이 몇 시간 지속될 수 있다. 활동을 계속하면 점차 좋아지긴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통증은 만성이 되고 밤에 통증이 악화되는 ‘야간 악화’도 나타나 ... ...
- “와! 발측정 항목이 무려 32개”동아일보 l2016.04.29
- 변화가 생겼다. 작년엔 왼발의 길이는 284mm, 오른발 286.5mm로 다르게 측정돼 신발의 크기를 양쪽 다르게 신었다. 올해는 양발 모두 284mm로 같게 나왔다. 발의 길이가 운동량에 따라 변한 것. 윤승현은 수제화 덕을 톡톡히 봤다. 작년에 수제화를 신기 전, 최고기록은 226cm였다. 그러나 1년 만에 6cm(232cm)를 ... ...
- 자율주행車 사고 책임은 차량탑승자? 제조업체?동아일보 l2016.04.20
- 들어 시속 60km로 도로를 달리던 자율주행차가 위험을 피하기 위해 방향을 돌려야 하는데 양쪽 편에 사람이 있다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느냐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완성형 자율주행차가 주변 환경을 얼마나 자세히 인식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섣불리 결론을 내리기도 어렵다. 이 학장은 ... ...
- 같은 상처를 가진 사람들…"삶, 공동체에서 치유 받아야"포커스뉴스 l2016.04.16
- 유가족은 유가족들끼리, 주민들은 주민들끼리의 공동체 활동을 만들어 왔다면 올해는 양쪽이 함께 하는 활동을 조심스럽게 계획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까지 세월호와 관련 없는 사업을 진행해온 안산희망마을사업추진단도 올해 유가족들도 마을만들기 사업 공모에 참여할 수 있게 했다. ... ...
- 사지마비 환자 최후의 보루, 눈으로 대화할 수 있는 ‘안구 마우스’ 개발2016.04.15
- 상하좌우 움직임만 인식하는 초기 단계에 머물렀다. 임 교수팀은 양쪽 눈의 위와 아래, 양쪽 눈꼬리에 각각 전극을 붙여 신경전기신호를 얻었다. 또 눈동자를 대각선으로 움직이거나 연속적으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알고리즘도 개발했다. 그리고 눈 주변 전극에 스마트폰이나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