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뉴스
"
전
"(으)로 총 24,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사 대신 알약"…꿈의 비만약 '위고비' 먹는 약으로 진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구조 생물학 기술의 진보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2017년 극저온
전
자현미경으로 GLP-1 수용체의 3차원(3D) 분자 구조가 밝혀지면서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약물 결합 예측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실험실에서 수천 개의 화합물을 일일이 합성하지 않고도 가능성 있는 후보를 선별할 ... ...
하버드대 로봇벌, 각다귀에게 우아한 착륙법 배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연구의 공동 제1 저자인 현낙승 미국 퍼듀대 교수는 "비행체의 성공적인 착륙은 충돌
전
표면에 접근하는 속도를 최소화하고 충돌 후 에너지를 빠르게 소멸시키는 데 달려 있다"고 말했다. 현 교수는 연구가 진행될 당시 하버드대 마이크로로봇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이었다. 연구팀은 각다귀처럼 긴 ... ...
국내 원자력 기술, 종주국 미국에 첫 수출 '쾌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원자력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 글로벌 원자력 기술을 선도하고 미래성장동력으로 발
전
시켜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은 "이번 사업 수주는 세계 유일의 고성능 연구로 핵연료 기술과 높은 설계 능력 등 연구원이 쌓아온 독보적인 기술력과 ... ...
7m까지 자라는 대왕 오징어, 심해서 최초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오징어인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가 심해에서 최초로 포착됐다. Schmidt Ocean Institute 제공.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오징어인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가 심해에서 최초로 포착됐다. Schmidt Ocean Institute 제공.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대부분의 시간을 심해에서 보내기 때문에 관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세포도 생존에 '미토콘드리아' 쓴다
2025.04.16
현재 미토콘드리아 뇌 지도는 초기 버
전
으로 수년 내에 5만 개의 복셀을 분석해 완
전
한 지도를 만들 예정이다. 나이가 들수록 점점 무거워지는 생로병사라는 짐을 지고 가야 할 인생의 여정에서 미토콘드리아에 대해 새로 밝혀지는 사실을 통해 얻는 약간의 통찰이 그나마 위안이라는 생각이 문득 ...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용액 속 단백질량 측정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AI 연구나 현재 상위권에 있는 DFT 연구 논문이 가파른 인용 수 증가세를 이어간다면 2030년
전
에 1위 논문을 추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네이처가 분석한 3개 데이터베이스의 인용 횟수 상위 100위권 논문들은 아래 웹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nature.com/magazine-assets/d41586-025-01124-w/50860380 ...
혁신기업 R&D 제도 확 바꾸자…"R&D 인건비 부담 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수 있었던 것은 기업의 기술혁신 노력 덕분”이라면서 “글로벌 혼돈 속에 경제발
전
의 주역인 우리 기업이 R&D의 끈을 놓지 않도록 정부가 산업계와 상시적 소통을 강화하고 주요 정책과제 추진에 적극 나서는 등 혁신적인 마중물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 ...
[과기원NOW] KAIST,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 참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지난해 열린 대한민국 과학축제의 KAIST
전
시관. KAIST 제공 ■ KAIST는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에 참여해 로봇·원자력 등 KAIST의 최첨단 연구 성과를 선보인다고 ... 인공지능(AI) 및 스마트 제조 분야의 시장 현황을 공유하고 제조업의 디지털
전
환을 위한
전
략과 비
전
을 제시할 예정이다. ... ...
의협 "이제 선배가 나설 때"…20일 총궐기 참여 촉구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총 1882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602명은 현역 입대자였다. 통상 의대 졸업 후
전
공의 수련을 시작하면 ‘의무사관후보생’으로 등록돼 공보의나 군의관으로 복무하지만 최근에는 긴 복무 기간과 열악한 근무 여건을 이유로 이 과정을 피하고 군에 먼저 입대하는 의대생들이 늘고 있다. 실제 ... ...
美, 韓 '민감국가' 지정 발효…과학계 우려 지속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기타 지정 국가’ 해제가 쉽지 않은 만큼 과학기술계의 불확실성은 당분간 지속될
전
망이다. 장기적으로 한미 과학기술 동맹의 상징적 위상에 금이 갈 수 있다는 우려도 뒤따른다. 과학기술계 관계자는 “기존 프로젝트는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 향후 새로운 협력을 추진하는 데 있어 심리적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