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29건 검색되었습니다.
옷처럼 입으면서 필요할 때만 힘내는 웨어러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1
비싼 게 단점이다. 연구팀은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의 핵심기술로 형상기억합금에
전류
가 흐르면 수축하는 특성을 적용했다. 직경 0.5mm 이하의 가는 형상기억합금을 스프링 다발로 만들어 20g 정도의 가벼우면서도 근육처럼 수축하며 10kg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유연구동기를 개발했다. ... ...
양자컴퓨터의 산실 ‘IBM 리서치 취리히’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15mK(영하 273.135도)로 만든다”며 “냉각한 초전도 반도체 칩에 마이크로파를 가해
전류
를 중첩상태로 만드는 것이 핵심 원리”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초전도 루프’ 방식은 IBM과 구글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입자이면서 동시에 반입자의 특성을 가지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 ...
미래 전자기기 편의성 더할 '부드러움'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도달했다. 초박막 절연체는 기존 절연체가 보이던 1㎠당 100만분의 1A 수준이던 누설
전류
를 10억분의 1A까지 줄여 1000배의 성능을 달성했다.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도 이전 연구결과들보다 1.5배 이상 더 잘 휘어지는 성과를 거뒀다. 우수한 소재 개발은 우수한 소자로 이어진다. 말랑한 인체 구조를 ... ...
가장 세밀한 자기공명영상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아주 뾰족한 금속 탐침을 시료 표면에 가깝게 스캔해 탐침과 시료 사이에 흐르는
전류
로 표면 원자를 보는 장비다. 연구진은 주사터널링현미경 탐침 끝에 원자 여러 개를 묶은 이른바 ‘스핀 클러스터’를 부착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스핀끼리 자석처럼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성질에 ... ...
2차전지 에너지 밀도 높일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3차원(3D)으로 분석한 모델을 만들었다. ㎛ 크기의 백금 필라멘트를 단입자에 접촉시켜
전류
를 흘려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동안 단입자 내의 전압과 전위, 리튬 이온 농도와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했다. 이를 토대로 단입자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특정 조건에서 어떤 전기화학적 특성을 ... ...
수학으로 서울 지하철 공조기 고장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전기신호 패턴 그래프다. 부품이 정상인 경우(파란색)와 교체가 필요한 경우(빨간색)
전류
패턴이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해당 모델을 노원역과 건대입구역 등 서울 지하철 역사에서 실험해 평균 95% 이상의 정확도로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데 성공했다. 공조기 V ... ...
“무어의 법칙 한계를 뛰어넘어라”… 차세대 정보저장 기술개발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STT-MRAM)가 대표적이다. 스핀 방향이 비슷한 영역(도메인)을 만들고
전류
로 이를 제어해 정보를 저장한다. MRAM은 정보 처리가 빠르고 전원을 꺼도 정보가 사라지지 않아 지금의 주력 메모리반도체인 디램(DRAM)을 대체할 후보로 꼽힌다. IBM은 도메인 사이의 경계를 움직여서 정보를 저장하는 또 다른 ... ...
거대한 MRI 장비 크기 절반 이하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절연 기능을 수행하다, 발열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전기의 흐름을 돕는 도전재로 바뀌어
전류
가 선과 선 사이를 건너갈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평균 10t에 달하는 MRI의 무게를 크게는 3t까지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MRI에 스마트 인슐레이션 기술을 활용하면 구리의 양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열렸던 날로, 세계측정의 날이다.)부터 시행되었다. 킬로그램과 아울러
전류
의 단위인 암페어, 물질의 양 단위인 몰(mole)수, 절대온도 단위인 켈빈도 모두 자연 상수를 기반으로 재정의됐다. 역사적인 결정이 이뤄진 프랑스 베르사유의 국제도량형총회 현장. 베르사유=이정아 기자 과학에서 가장 ... ...
이질적인 소재의 경계에서 제조혁명 씨앗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고압선을 움직이며 감시하는 무선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김 단장은 “모든 전선엔
전류
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하는데, 송전선의 버려지는 자기장만으로 전기를 충전해 전선을 오가면서 안전성을 반영구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스마트 건물이나 수송기기에도 활용될 수 있어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