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뉴스
"
조상
"(으)로 총 5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
이라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2
매우 광범위한 생물종의 공동
조상
이다. 결국 영장류나 원숭이보다 더 오래된 인류의
조상
이라는 것이다. 사코르히투스의 대칭인 몸 구조는 인간을 비롯한 많은 후손들이 물려받았다. 하지만 사코르히투스가 물에서 살다가 밖으로 나와 어떻게 인류까지 이어졌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계속 착용했다면 진화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라며 “약 100만~300만 년 전 영장류(인류의
조상
)의 뇌가 커지기 시작할 때 털이 빠지고 외분비샘(땀샘)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털 없는 원숭이’라는 제목의 책도 있듯이 모피가 사라지고 땀샘이 생긴 게 인류 진화의 원동력임은 알고 있었지만 둘이 ... ...
7700년 전 신석기 한국인
조상
은 우유를 잘 소화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2.02
완전히 해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악마문 동굴인은 현재 인근 원주민인 울지족의
조상
으로, 현대인 중에서는 한국인과 유전적으로 가장 유사하다. 전성원 UNIST 게놈연구소 연구원은 “한국인과 모계가 같은 악마문 동굴인은 한국인의 유전적 뿌리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연구원이 ... ...
[생활의 시선 50] ‘설날’ 생각
2017.01.28
풀고 당길 때 느껴지는 손맛이 좋아 한동안 바람을 등지고 오래 서 있었지만, 우리
조상
들은 섣달그믐 즈음부터 정월 대보름까지 복된 새해를 기원하는 마음을 실어 연(鳶)을 날렸다. 정월 대보름까지는 계속 달이 차오르고 그 후로는 다시 달빛이 작아지기에 보름이 지나서 연을 띄우면 오히려 ... ...
개코원숭이도 모음을 말할 줄 안다?
과학동아
l
2017.01.28
연결고리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며 “약 2500만 년 전 인간과 원숭이의 마지막 공통
조상
의 발성 기술에서 언어가 진화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플로스원’ 1월 11일자에 발표됐다 ... ...
달걀대신 메추리알로 전을 부친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7.01.25
거의 없었습니다. 달걀이 매우 귀했거든요. 정혜정 전주대 한식조리학과 교수는 “우리
조상
들은 ‘느르미’라는 전통방식으로 전을 부쳤다”고 말합니다. 느르미는 물을 약간 넣어 축축해진 밀가루 반죽에 식재료를 묻힌 다음 바로 익히는 방식입니다. 정 교수는 “반죽이 흐를 정도로 물을 넣은 ... ...
[괴짜 과학자 시리즈①] 손으로 번개를 잡은 남자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이는 하루에 약 800만 회에 달하는 수준이다." -디스커버리 뉴스 처음엔 무서웠습니다.
조상
들이 그랬던 것처럼 순간의 섬광이 가진 위력 앞에서 그저 공포에 떨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수년간 거듭했던 전기 연구는 제 시야를 넓혀 주었고, 어느 순간부터 이런 의문이 들더군요. "번개는 단순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생쥐와 사람에서도 여기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7억 년 전 공통
조상
에서 갈라진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이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1994년 하루 28시간 주기를 보이는 돌연변이 생쥐가 나왔다. 생체시계가 고장 난 이 생쥐에게 연구자들은 ‘클럭(Clock)’이라는 ... ...
[2017 신년기획_그것이 알고싶닭] ④ (팩트 체크) 붉은 닭, “저는 억울한 게 많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4
묻는다면, 닭도 할 말이 많습니다. 요즘 양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축용 닭의
조상
은 적색야계(Gallus gallus)입니다. 붉은 닭의 해에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적색야계는 약 3000만 년 전에 탄생했습니다. 목 아래와 몸통 부분이 붉고, 꼬리로 갈수록 검은 깃털을 가진 적색야계는 오늘날 순수혈통을 ... ...
60년에 한 번 오는 붉은 닭의 해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01.03
됐다. 과학동아 제공 ● 유전자 연구, 최초의 ‘집닭’ 위치 밝혀 DNA를 이용해 닭의
조상
을 찾으려는 시도는 1990년대 일본에서 시작됐다. 현재 일왕인 아키히토의 차남으로 생물학자였던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가 꾸린 연구팀은 1994년, 유전자 분석을 통해 닭이 태국에서 처음 사육됐을 것이라는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