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뉴스
"
흔적
"(으)로 총 1,086건 검색되었습니다.
귀가 셋인 고양이
팝뉴스
l
2020.08.19
길을 잃은 고양이로 여겨진다. 발견 당시, 지저분했고 살도 많이 빠진 상태였다. 싸운
흔적
으로 보이는 상처도 있었다.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입양될 예정이다. 한 번 보면 누구라도 기억할 만한 ‘귀 셋 고양이’의 등장에 많은 이들이 깜짝 놀랐다. 큰 관심을 보인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프리미엄 리포트]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
과학동아
l
2020.08.15
겉표면에 생기는 층)이다. 박 선임연구원은 “지구 밖 에서 온 운석이라면 반드시 용융각
흔적
이 존재해야 한다”며 “대기권을 통과할 때 강력한 열 때문에 운석 표면에 최소 수mm 두께로 까맣게 그을린 층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제아무리 희귀한 운석도 검증을 받기 전에는 한낱 ... ...
[오늘의 우주과학]급속히 어두워졌던 베텔게우스, 밝기 떨어진 원인은 '먼지 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물질이 지구에서 봤을 때 베텔게우스의 남동쪽 표면에서 방출돼 대기를 통과해 간
흔적
을 발견했다. 이 물질은 시속 32만km의 속도로 대기중으로 방출됐다. 듀프리 연구원은 “이 물질은 베텔게우스보다 2~4배쯤 밝았는데, 약 한 달 뒤부터 별의 남쪽을 중심으로 어두워지는 현상이 발견됐다”며 ... ...
'3D처프' 바다 밑에 가라앉은 해저 유물을 보여줘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7년까지 예정된 이번 탐사 연구를 통해 울돌목 인근 해역에 매몰된 명량해전 당시 침선의
흔적
은 물론 조선시대 도자기, 전쟁유물 등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난 4월 26일 이후 전남 해남 지역에서 70여차례 집중 발생한 지진의 원인을 찾는 추가 조사 작업에도 EOS3D 시스템을 활용한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연구 외에도 서로 다른 종 간의 단백질 서열을 비교분석해 진화의
흔적
을 찾을 수 있는 연구로 확장가능했다. 막스 델브릭 같은 물리학자들이 대거 생물학으로 넘어오면서 분자생물학의 시대가 열렸고, 1950년대 분자생물학은 DNA의 정보가 생체분자로 전환되는 과정을 ... ...
소행성 '세레스' 땅 속엔 거대한 소금 호수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언덕이 충돌로 물이 흘러가다 얼며 만들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물이 얼며 지표에
흔적
을 남긴 것이 발견된 것은 지구와 화성 외에 처음이다. 라이언 박(한국이름 박상현) NASA JPL 연구원은 세레스 지각이 물에 의해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차 밀도가 낮아진다는 분석결과를 내놨다. 돈은 2007년 9월 ... ...
명량해전 수중문화재, 해저 탄성파 기술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나 도자기를 실었던 선박이 자주 침몰한 곳이기도 하다. 그만큼 관련 유물을 포함한 역사
흔적
이 확인된 곳으로 문화재 탐사 가치가 크다. 하지만 울돌목은 조류가 강하고 대다수 문화재들이 수심이 깊은 바닥에 묻혀 있는 경우가 많아 잠수조사에 한계가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 ...
[프리미엄 리포트] 마스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2020.08.08
끌어모아 이번에는 화성 지표의 시료를 가지고 오기 위한 첫걸음을 뗀다. 그간 물의
흔적
을 찾는 데 주력했다면 이제부터는 외계 생명체 발견이 목표다. 마스 2020이 담아 놓을 화성 시료가 기다려지는 이유다. 출처 사이언스 / 과학동아DB ※필자소개 전인수.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 ...
12일 밤 시간당 110개 별똥별 쏟아지는 우주쇼…관측 전망 '흐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흔적
이고, 12월에 떨어지는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혜성처럼 움직이는 소행성 '파에톤'의
흔적
이다. 유성체들은 대기와 충돌할 때 한 지점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 유성체는 지구 대기로 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들어오며 빛나지만 이를 지상에서 바라보면 상대적인 위치 때문에 한 지점을 ... ...
코로나19 혼란 속에서 괴물이 크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20억 인구가 결핵균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7000년 경 석기 시대 화석에서도 그
흔적
이 발견됐다.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감염질환으로 평가받는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전세계 150만명이 결핵으로 사망했다. 전 세계 결핵환자는 1000만명으로 추정된다. 이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