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글"(으)로 총 60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2016.01.09
- ’, ‘사이언스’에는 ‘회고(retrospective)’라는 제목의 란에 주로 동료나 제자들이 글을 기고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올해 ‘네이처’에는 18건, ‘사이언스’에는 4건의 부고가 실렸습니다. 두 저널에서 함께 소개한 사람은 두 명입니다. 두 곳을 합치면 모두 20명이나 되네요. 이들을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2016.01.08
- 떠났다. ‘네이처’ 11월 19일자에 부고를 쓴 캐나다 퀸스대 빅터 스닉쿠스 교수는 글 말미에 헤크 교수와의 특이한 인연을 소개했다. 즉 2006년 헤크에게 연락해 과거 헤크가 했던 코발트 촉매 실험법을 전수해달라고 수개월 일정으로 초빙한 것. 17년 만에 현장에 복귀한 헤크는 매일 아침 8시에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2016.01.07
- ’, ‘사이언스’에는 ‘회고(retrospective)’라는 제목의 란에 주로 동료나 제자들이 글을 기고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올해 ‘네이처’에는 18건, ‘사이언스’에는 4건의 부고가 실렸습니다. 두 저널에서 함께 소개한 사람은 두 명입니다. 두 곳을 합치면 모두 20명이나 되네요. 이들을 ... ...
- 성공전략 vs 실패전략, 어떤 전략이 내게 더 잘 맞을까2016.01.06
- 수 있을까. 새해를 맞아 계획을 세운 모든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번 글을 썼다. 긍정적인 사람, 부정적인 사람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효과적인 전략이 따로 있다는데…. - pixabay 제공 같은 목표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 A와 B가 있다. A: 내가 이걸 해낸다면 정말 기쁘겠지?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2016.01.06
- 찍었다. ‘사이언스’ 10월 30일자에 부고를 쓴 스미스소니언연구소의 고생물학자 더글라스 어윈에 따르면 데이비슨은 유전자 조절 네크워크를 정교한 논리회로라고 믿었고 실제 성게에서 이중부정논리게이트를 발견하고는 무척 기뻐했다고 한다. 즉 ‘어떤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2016.01.05
- 연말마다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습니다. 2015년도 한 해도 여 ... 사랑했던 색스는 음악과 뇌를 주제로 책 ‘뮤지코필리아’를 썼다(2008년 출간). 2010년 나온 한글판 표지. (제공 교보문고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암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준 ‘크리스토퍼 마셜’2016.01.04
- ’, ‘사이언스’에는 ‘회고(retrospective)’라는 제목의 란에 주로 동료나 제자들이 글을 기고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올해 ‘네이처’에는 18건, ‘사이언스’에는 4건의 부고가 실렸습니다. 두 저널에서 함께 소개한 사람은 두 명입니다. 두 곳을 합치면 모두 20명이나 되네요. 이들을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밝힌 세포생물학자 '앨런 홀'2016.01.03
- ’, ‘사이언스’에는 ‘회고(retrospective)’라는 제목의 란에 주로 동료나 제자들이 글을 기고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올해 ‘네이처’에는 18건, ‘사이언스’에는 4건의 부고가 실렸습니다. 두 저널에서 함께 소개한 사람은 두 명입니다. 두 곳을 합치면 모두 20명이나 되네요. 이들을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2016.01.02
- 스티븐 스탠리와 함께 대학교재 ‘고생물학 원리(Principles of Paleontology)’를 펴냈고(한글판이 나왔지만 절판됐다), 일반인을 위한 교양과학책 ‘네메시스 사건(The Nemesis Affair, 1986)’과 ‘멸종(Extinction, 1991)도 냈다(둘 다 미번역). 이들 책에서 라우프는 대량멸종이 진화에 미친 영향이 큼을 보여주면서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끈이론 확립에 기여한 물리학자 ‘남부 요이치로’ 2016.01.01
- 2012년 유럽입자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실험으로 확인됐고, 힉스와 프랑수아 앙글레르는 201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1964년 머리 갤만과 조지 츠바이크는 독립적으로 쿼크 개념을 제안했는데(츠바이크는 에이스란 이름으로) 쿼크가 어떻게 양성자와 중성자 같은 입자를 이루는가에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