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포
후미
스페셜
"
작은 만
"(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메가시티형 바이오 혁신클러스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0.06.04
있다. 몇 년 전부터 국내 제약업체들이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크고
작은
기술이전을 진행하고 있고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글로벌 ... 많은 환자와 사망자를 내며 국민에게 걱정을 더 하고 있다. 하지
만
불행 중 다행인지 한국의 우수한 진단기술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면서 'K-바이오(한국형 ... ...
성공 위해 실패는 계속된다…스페이스X 크루드래건 발사 성공 하루전 차세대 로켓 폭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31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를 내놨지
만
올 3월 초 또 다른 압력 테스트 중에 동체가 다시 ... 완벽한 형태의 스타십의 실제 비행 시험에 대해
만
반의 대책을 모두 마련했다. 스페이스X는 앞서 지난해 8월 그보다 규모가
작은
스타십 프로토타입 로켓을 150m까지 또 오르게 하는 테스트를 진행했다. ... ...
[과학게시판]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설립 20주년 맞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5.30
해양자원 개발과 지역 국가협력을 위해 설립된 기지는 처음엔
작은
연구실험실로 시작했으나 2006년 상설기지로 전환했다. 기지에서는 ... ■ 우정사업본부는 2020년 ‘세계 식물건강의 해’를 맞아 기념우표 67
만
2000장을 이달 29일 발행한다. 기념우표는 다채로우 색깔의 산림과 금빛 농작물에 물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14
만
명의 유전자 지도, 유전질병 잡는 해답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30
남아시아인 2
만
5000여 명, 히스패닉계 1
만
8000명, 아프리카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1
만
2000여 명의 정보가 포함됐다. 프로젝트에 ... 지노마드를 활용해 점돌연변이와 같은
작은
변이뿐 아니라 염기서열 50~100개 정도로 긴 범위의 DNA가 바뀌는 구조 변이도 관찰했다. 질병과 관련한 유전자 기능 문제는 ... ...
무증상 감염자의 에어로졸 전파 가능하다면 2m 거리두기도 위험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5.29
후 인간 면역계와 싸워야 하지
만
에어로졸은 이 과정을 거치지 않아 ... 효과를 낸다는 것이다. 크기가
작은
에어로졸의 특성을 고려하면 2m ... 당시에는 마이크로미터(㎛·100
만
분의 1m)보다
작은
에어로졸을 검출하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최근 연구에서는 100㎛ 침방울은 4.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원자와 분자
2020.05.28
깊이를 10미터라 하면 전체 백사장의 부피는 200
만
세제곱미터가 된다. 이 백사장을 채우고 있는 ... 밀리미터이다. 따라서 모래알의 개수는
만
약 모래알이 훨씬 더 고운 입자여서 가로 세로 ... ~10의 23승에 비해서 10의 5승, 즉 10배 정도
작은
양이다. 그러니까 백사장 모래알 개수 따위로는 ... ...
"태양, 은하충돌로 태어났을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ESA)은 태양계가 포함된 우리은하 주위를 도는
작은
위성은하인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가 ...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는 우리은하 질량의 1
만
분의 1 정도로
작은
소형 위성은하다.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7
만
년 정도 가야 하는 거리에 있다. 약 70억~80억 년 전 부터 우리은하 중심부를 중심으로 ... ...
[인간·공감·AI]"코로나19 시대 아픈 환자 모니터링 시각 AI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열어줬다. 처음 방문했을 때엔 굳게 닫혀 있었지
만
, 그 사이에 스스로 방문자의 얼굴을 학습한 ... 모두 특별한 기술이 아니다”라며 웃었다. 하지
만
일상의
작은
곳 구석구석을 자신의 기술을 이용해 바꿔 보는 공학자 특유의 아이디어와 세심한 손재주를 느끼게 하는 절묘한 소품이었다. 전문구 ... ...
美공군 무인 우주왕복선 'X-37B', 6번째 비밀 임무 위해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8
X-37B는 길이 8.8m에 높이 2.9m, 날개 길이는 4.5m로 동체가 버스보다도
작은
무인 우주비행선이다. 미국 공군 소유로 미국 항공업체 보잉에서 제작했다 ... 지난 5회차 발사 때 처음으로 탑재체 일부의 정보를 공개했을 정도다. 하지
만
이번엔 몇몇 임무는 구체적인 내용까지 공개했다. 미국 공군에 따르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훅이 본 것은 줄맞춰 빼곡하게 들어서 있는 조그
만
방들이었다. 그 모습이 수도원의
작은
방들 또는 벌집의 조그
만
구멍들과 비슷해 보였다. 그래서 붙인 이름이 ‘셀(cell)’이었다. 훅은 세포를 발견했다. 훅이 발견한 것은 살아 있는 세포가 아니라 죽은 세포벽이었다. 지금 우리가 세포하면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