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10
많이 나눌수록 모의실험에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기상을 관측하는
곳
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좁은 지역에 대한 기상변수를 모두 얻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좁게 나눠봤자 수치모형에 적용할 기상변수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게다가 격자가 많아지면 컴퓨터가 계산할 양도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10
있어 핏줄과도 같은 역할을 했다.그런데 조금 더 높은
곳
에서 내려다보면 우리 주위
곳곳
을 시커멓게 휘감고 있는 전선의 존재가 섬뜩하게 느껴질 것 같다. 전선은 신문명이 인류에게 안겨준 개목걸이 같은 존재인 것이다. 전선과 함께 발전에 발전을 거듭한 우리는 이제 주위를 둘러볼 수 있는 ... ...
눈과 망원경으로 즐기는 가을밤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200410
우리는 이 대상을 별도의 장비 없이 맨눈으로 쉽게 감상할 수 있다.가을철 북쪽하늘 높은
곳
을 맨눈으로 한번 찬찬히 살펴보자. 분명 다수의 별들이 모인 밝은 별 하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페르세우스자리 알파별이며 운동성단의 중심이다.찾기 어렵다면 페르세우스 별자리를 ... ...
최초의 외계 행성 이미지 포착?
과학동아
l
200410
높은 사진이 지난 9월 10일 공개됐다.유럽남천천문대(ESO)는 지구에서 약2백30광년 떨어진
곳
에서 희미하게 빛나고 있는 갈색 왜성(사진 가운데) 옆에서 행성으로 추정되는 붉은 빛의 천체(사진 왼쪽아래)를 포착했다. 칠레 북쪽 체로 파라날에 위치한 직경 8.2m인 초대형망원경(VLT)에 설치된 고감도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10
휴머노이드개발의 원조인 와세다대에서도 꾸준히 인간형 로봇이 나오고 있다. 이
곳
에서 개발된 ‘WF-4’ 는 키 2백50cm에 몸무게가 1백kg이나 나가며 플루트를 연주한다. ‘로비수케’ (ROBISUKE)는 인간과 대화하는 로봇으로 얼굴과 목소리, 행동을 인식하는 눈을 갖고 있고 자연스럽게 팔까지 흔들며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10
설치하는 국제 프로젝트를 논의하고 있다”며 “수십 조원이 들지만 발전소 한
곳
에서 현재 세계 태양광발전 용량의 10배 이상을 얻을 수 있다”고 기대했다.조력발전으로 새 생명 얻는 시화호한때 죽은 호수로 불렸던 경기도 시화호에서는 최근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10
2050년의 전기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다고 한다. 더군다나 날씨 때문에 사막과 같은
곳
이 아니면 태양광 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 세계에너지회의가 지원한 최근의 연구조사에 따르면 2050년에 지상태양광의 최대 기대치는 전기 생산량의 15%를 넘지 못할 것이라고 한다.반면 우주에서는 태양빛이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10
말고 덜도 말고 일년 열두달이 한가위만 같으면 좋겠다. 하지만 한가위에 골치 아픈
곳
이 있다. 바로 고속도로. 올해도 추석 연휴 동안 차량 행렬이 고속도로를 가득 메웠다.고속도로를 지나다 보면 같은 구간이고 차량 수가 비슷하더라도 어떨 때는 가다서다를 반복하고 어떨 때는 느리긴 하지만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10
층수, 건물의 간격이 적절하게 조정된다.바람길을 고려해볼 때 한마디로 어디가 딱 좋은
곳
이라고 추천하긴 어렵다. 대신 좋지 않은 주거지를 얘기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도시에서 바람길의 하류 지역일 경우 그다지 양호한 주거지역이라고 하긴 어렵다. 대기오염물질이 이동해오기 때문이다. 또한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10
번갈아 배치했다.잔향시간을 1.0-1.2초에 묶어두기 위한 아이디어는 실제 공연장 설계도
곳곳
에서 고스란히 드러난다. 대공연장의 경우 7백10석 규모로 모든 장르의 국악을 공연할 수 있는 무대설비와 시설을 갖췄다. 극장은 지상1층에는 무대가 들어서고 지상 4층에 이르는 객석까지 발코니 1개가 있는 ... ...
이전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