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더 넓게 쓸 수 있게 됐다. 앞으로 엘리베이터에 달린 로프를 없애고 전기열차처럼 레일
위
를 움직이는 기술이 개발되면 운송량과 서비스의 양이 크게늘 전망이다.X note기울어진 엘리베이터서울 강북구‘북서울 꿈의 숲’에 가면 기울어진 엘리베이터를 볼 수 있다. 산비탈에 수직 엘리베이터를 ... ...
학생이 원하는 대로,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정보과학을 깊게 공부할 기회는 부족하다.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은 초등학생을
위
한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정보통신 분야가 특화된 아주대의 장점을 살린 교육 프로그램이다.‘e러닝 열린 학교’라는 이름처럼 모든 교육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정보과학 관련 교수들이 열정을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근원적인 의미를 완벽히 이해하지 못해 궁극적인 이론이 무엇이 될지는 모른다. 하지만
위
와 같은 아주 큰 에너지 영역을 제외하면 상대성이론은 우리가 느끼는 영역을 포함한 대부분의 에너지 영역에서 성립하는 유효한 이론으로 남을 것이다.[남극의 ‘아이스큐브’실험장의 모습. 우주에서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등 악기를 바꿔가며 오케스트라는 점차 음량을 높입니다. 그러는 동안에도 작은북은
위
두 마디 리듬을 340마디에 걸쳐 끊임없이 반복합니다.지금 듣고 계신 곡은 20세기 초의 프랑스 작곡가 모리스 라벨의 발레곡 ‘볼레로’예요. 오케스트라의 다채로운 음량과 음색을 한껏 자랑할 수 있도록 교묘한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잎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프랑스의 시인 레미 드 구르몽의 시처럼 ‘낙엽은 버림받고 땅
위
에 흩어져 있다’고 볼수도 있다. 그러나 자연은 때로는 버림으로써 결국은 더 잘 살게 되는 삶의 이치를 보여 주고 있는 게 아닐까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않은 새로운 순도 애벌레에게는 최고의 식사감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인 멸종
위
기종인 붉은점모시나비 애벌레들은 잎더미 속에서 쉼터를 마련하고 있다가 처음 나오는 새 순만 먹는다. 애벌레들이 새 순만 먹기 때문에 이름 붙은 복숭아순나방도 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애벌레를 채집할 ... ...
블록으로 정사각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Q 보기의 블록을 조합해 가로와 세로의 숫자 배열이 똑같은 5*5정사각형을 만들어보세요. 단, 블록은 회전하거나 뒤집을 수 없습니다. 이달의 퍼즐
위
의 문제처럼, 아래의 블록을 조합해 가로와 세로 숫자 배열이 같은 6*6정사각형을 만들어보세요. 단, 블록들은 회전하거나 뒤집을 수 없습니다. ...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아래에 앉아 숨어 있을까요? 작은 곤충이 우연히 나뭇잎
위
에 앉으면 얼른 잡아먹기
위
해서지요. 2002년 서부 아프리카에서 처음 발견되었어요. 낚싯바늘로 방어하는 개미캄보디아 숲에서 발견된 거대한 개미! 몸길이 1.5㎝로, 등에 난 낚싯바늘처럼 생긴 가시로 적의 피부를 뚫을 수가 있어요. 또한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RGB 탐험대원을 뽑을 예정이에요. 직접 뉴칼레도니아에 가서 건강한 지구를 만들기
위
한 방법을 스스로 고민하고 찾아보는 활동을 하게 된답니다.인류와 지구 문제를 해결하는 데 과학과 기술이 어떤 역할을 하나요?앞에서 살펴본 지구와 인류의 문제는 지구온난화에서 시작됐어요. 하지만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벽에 장식된 조각상이 내뿜는
위
엄과 천장에서 쏟아져 내려오는 햇빛으로 장중한 분
위
기를 느낄 수 있다.그러나 지금의 판테온은 대리석과 기둥이 없어져 처음 판테온과 다르다. 7세기에 동로마가 돔 바깥을싸고 있던 청동을 벗겨내 콘스탄티노플로 가져갔고, 17세기에는 교황이 현관의 청동을 녹여 ... ...
이전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