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뉴스
"
신경
"(으)로 총 5,228건 검색되었습니다.
[Health&Beauty]젊어지는 난청인과 올바른 보청기 맞춤
동아일보
l
2015.08.19
50대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실버층으로 진입함에 따라 난청의 연령대가 어려지고 있다. 청
신경
의 노화와 함께 도시의 다양한 소음에서의 노출이 난청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아직도 일을 하고 사회생활이 왕성한 50대 10명 중 3명은 난청이 있다는 통계도 있다. 소음이나 노화로 인한 난청은 ... ...
조기 진단 어려운 희귀질환… 치료 늦어지면 장애로 이어져
동아일보
l
2015.08.19
질환을 앓아야 하기 때문에 고령군에서 나타나는 알츠하이머, 뇌중풍(뇌졸중) 등 다른
신경
계 질환보다도 의료비용이 더 높은 편이다. 다발성경화증 환자들은 치료제에 대한 국가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 15년간 국내 다발성경화증 치료에는 2가지 주사제만 사용되어 왔다. 지난해 ... ...
생각만으로 로봇 움직이게 만든다
2015.08.19
고려대 제공 “루게릭병 환자나 하체가 약한 노인들이 생각만으로 이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로봇을 만들 수 있을 겁니다.” 이성환 고려대 뇌공학과 교 ... 움직이기까지 2초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
신경
공학저널’ 17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우울증, 비만 치료제 남성에게 효과 없어”
2015.08.18
동일한 결과를 나타낼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울리 교수는 “
신경
과학분야 기초연구 중 85%가 수컷 동물을 활용해 진행되고 있다”면서 “신약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개발 과정에서부터 양성을 모두 사용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고백에 성공하려면, 일단 배불리 먹이세요
2015.08.17
발표했다. 엘리스 앨리 미국 드렉셀대 연구원은 여성의 뇌는 식후에 보상과 관련된
신경
회로가 더 쉽게 활성화돼 로맨틱한 분위기에 빠지기 쉽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과거 다이어트 경험이 있는 여성이라면 그 효과가 더 크다는 사실도 밝혔다. 일반적으로 배부른 상태보다 ... ...
니코틴 중독 만드는 건 ‘마이크로RNA’
2015.08.12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니코틴 중독 원인을 밝혀냈다. 임혜인 KIST
신경
과학연구단 선임연구원팀은 뇌의 특정부위에서 마이크로RNA(microRNA) 변화가 니코틴 중독과 관련 있다는 것을 새로 밝혀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11일 자에 발표했다. 마이크로RNA는 작은 RNA 조각으로 유전자의 ... ...
난치성
신경
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
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이남기 교수(왼쪽 사진)와 김기문 단장 - IBS 제공 우리가 감정을 느끼고, 행동하는 모든 일은 두뇌 활동의 결과다. 뇌 속
신경
세포의
신경
... 두개가 합쳐지듯 융합해 '막융합'을 형성하고, 이때 막융합이 빠르게 열리고 닫히며
신경
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IBS 제공 ... ...
신경
질환 극복 청신호… 피부세포→
신경
세포 바꿨다
2015.08.09
홍쿠이 뎅 교수팀이 쥐의 피부세포(섬유아세포)를 이용해 만든
신경
세포 - 중국 베이징대 생명과학대 제공 중국 연구진이 피부세포를 ... 이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신경
세포를 만들 수 있도록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며 “
신경
관련 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주인 얼굴 보고 꼬리치는 개, 반가워서? 배고파서?
2015.08.04
부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 연구를 통해 다른 동물에게도 얼굴을 인식하는
신경
세포가 있다고 밝혀진 적은 있지만 뇌의 한 영역 전체가 활성화된다고 밝혀진 동물은 개가 처음이다. 연구팀은 개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 안에서 진정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있을 수 있도록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림프관이 제2 순환계다. 이어 등장한 권 교수는 역시 짤막한 강연에서 프리모관을 통해
신경
전달물질인 아드레날린이 흐르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생리적 반응 측면에서 한의학의 기(氣)의 개념에 가장 가까운 물질이 아드레날린임을 생각하면 앞뒤가 맞는다고 덧붙였다. 또 림프관에 림프절이 ... ...
이전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