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d라이브러리
"
적은
"(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임금님의 궁전을 보호하는 외각성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10월의 밤하늘은 더 이상 가을이 아니다. 화려한 겨울철 1등성들이 이미 밤하늘을 장악하기 시작한다.푸른하늘이 더욱 더 높게 느껴지는 가을은 별보는 이들의 가슴을 설레이게 한다.추수가 끝난 들판은 메말라 있어 시골로 관측회를 떠나는 별지기들이 더이상 저녁 안개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
잠과 건강, 신비의 관계 벗겨진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잠을 자지 않으면 건강을 해친다는 생각은 경험적 상식으로 통용된다. 과연 잠에는 어떤 과학적 작용이 있어서 그런 걸까? 뉴욕타임스가 보도하는 잠에 대한 최신정보.한 대학생이 벼락치기로 시험공부를 하기 위해 두 밤을 꼬박 새고 셋째 날 드디어 감기로 앓아눕게 된다. 어떤 고용인이 밤을 꼬 ... ...
군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1960년대에 들어서 전함은 자취를 감추고 항공모함과 잠수함이 주전세력으로 등장했다. 순양함과 구축함은 대형포 대신 미사일을 장착한 유도탄함으로 탈바꿈하기 시작했다. 1961년에는 세계 최초로 원자력 항공모함 롱비치호가 등장, 이후 해군은 미사일함 핵추진함 항공모함 잠수함시대로 접어들 ... ...
노랑부리백로와 모감주나무 발견이 최대 수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습지도 생각보다 적었는데, 먹이가 없는 게 아니겠습니까?원병오 : 맞습니다. 습지가
적은
데 그나마 자꾸 없어져 안타깝습니다. 습지가 많았으면 새가 엄청나게 왔을 것입니다.박희송 : 짧은 기간동안 원교수님의 정열적이며 의욕적인 탐사활동에 큰 감명을 받았습니다. 앞으로 학생지도에 많이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국내에서 우리 연구원들 손으로 만들어진 우리별 2호가 9월23일 발사된다. 우리별 2호는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1호와의 차이는 무엇일까.92년 10월 13일 프로젝트의 시작을 선언하는 개시회의를 시작으로 이곳 대덕에서 제작된 우리별 2호가 이제 9월 23일 발사 예정(주위성인 스풋위성과 기타 상황에 따 ... ...
공해로 사라진 밤하늘, 꿈과 낭만의별하늘로 되살리자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날씨탓으로 페르세우스 유성우와 여름밤 은하수를 관측하는데는 실패했으나 참가자들 모두는 천문현상에 대한 많은 지식을 습득했다"공해로 사라진 우리의 밤하늘, 꿈과 낭만의 별하늘로 되살립시다."동아일보와 과학동아가 주최하고 ㈜쌍용이 후원하는 '투디와 함께하는 천문과학캠프'가 경기도 ... ...
(3) 광전효과로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라는 양자론 기본 개념 확립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며 양자론의 확률적인 해석을 거부했던 아인슈타인. 그렇지만 그는 양자론이 성립하는데 중요한 노릇을 한다.20세기의 과학자 가운데 아인슈타인 만큼 알려진 사람도 없을 것이다. 그는 과학의 영역을 넘어서서 우리들 생활과 철학에 큰 영향을 준 몇사람 되지 않은 ... ...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진단과 처방이 확실해진 셈이지요."-국내의 다른 학자들과 최교수의 이론을 토론해보신
적은
없습니까."초전도와 관련된 모든 학자들과 이야기를 해보았지요. 그런 가운데 아직 우리는 학문간의 장벽이 심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자신이 익숙한 방법이 아니면 쉽게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는다는 ... ...
아주 작은 악한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과학소설 작가들은 무시무시하고 복잡하며 때로는 악독한 외계인들을 생각해낸다. 그러나 정말로 아주 악독하며, 소설을 능가할 정도로 복잡한 생명 주기를 가지는 생명체가 존재하고 있다. 그것은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균이다. 말라리아는 인체에 위험하고 갈수록 증가추세에 있으며 아직도 완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우리 몸에서 눈만큼 작으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내는 기관도 흔치 않다. 사물이 보이는 이치는 뭘까. 눈의 구조와 역할을 알아보자.척추동물의 눈은 카메라의 구조와 상당히 유사하다.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은 수정체에 의해 굴절되고 초점이 조절되므로 망막에 도립상이 맺히게 된다. 카메라에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