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56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시냅스 모사한 반도체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KIST)은 곽준영 인공뇌융합연구단 책임
연구원
과 강기범 KAIST 교수, 정택모 한국화학
연구원
정보전자소재연구단장 연구팀이 2차원(2D) 신소재 기반의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소자는 2D 절연체 신물질과 2D 반도체의 이중접합 구조가 기반이다. 연구팀은 “2D 소재는 원자수준으로 ... ...
전기차도 내연기관차만큼 '非배기 미세먼지' 많이 배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가장 많았고 도로 마모(19.3mg), 타이어·브레이크 마모(10.7mg) 순으로 나타났다. 이 책임
연구원
은 "전기자동차에서 유해 배기가스 및 온실가스가 전혀 배출되지 않지만 통합 실험 측정 결과 상당 수준의 비배기 미세먼지가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도심 대기질 개선을 위해 전기차 보급 정책과 ... ...
[노벨상 2022] 암 표적 찾는 신약에 기여...'클릭화학' 연구자 3인 화학상(종합)
2022.10.05
촉매 반응 연구로 노요리 료지 일본 나고야대 석좌교수, 윌리엄 놀스 미국 몬산토사 전
연구원
과 함께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데 이어 두 번째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 3명은 10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2억9830만원)의 상금을 나눠 갖는다. 시상식은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① "용어에는 실마리가 있어야 한다"
2022.10.05
한다는 지적을 내놨다. 윤경식 경희대 의대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교수(경희의과학
연구원
장)는 “구연산이라는 용어는 생명공학 분야 기본 단어임에도 잘 와 닿지 않는다”며 “레몬산이라고 하면 접근이 훨씬 쉬워진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용어 순화 작업을 하는 ... ...
강원 정선 지하 1000m에서 우주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예미랩을 안내하고 있는 박강순 기초과학
연구원
(IBS) 지하실험연구단 기술원. IBS 제공 IBS 지하실험연구단은 5일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번 준공식을 계기로 2023년부터 양양실험실의 실험장비도 이전한다. 김 단장은 “세계 최초로 암흑물질 신호를 잡았다는 ... ...
해외 갈 때 항공기 우주방사선 피폭량 직접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탑승 시 피폭되는 우주 방사선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가 개설됐다. 한국천문
연구원
은 5일 우주방사선 예측모델 ‘크림(KREAM)’을 기반으로 한 우주방사선 피폭량 정보제공 웹사이트를 열었다고 밝혔다. 우주 방사선은 자연 방사선의 일종으로 태양활동 등에 의해 지구로 유입되는 ... ...
[과학게시판] 한국재료
연구원
, 고감도 나노플라즈모닉 센서 기판 제조기술 제우스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인공지능(AI) 및 하드웨어 시스템 통합 제품의 상용화를 진행한다. 또한 한국재료
연구원
과 추가 공동연구를 통해 나노플라즈모닉 소재를 활용한 바이오 물질 검출 및 판별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재료연은 “향후 질병 진단과 헬스케어용 체외진단 기술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 ...
尹 공약 우주청 신설, 정부조직개편안에서 빠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4
그는 “최근 윤석열 대통령은 국내 연구자들의 처우가 안 좋다고 하면서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에 ‘커피차’까지 제공했다”며 “연구 현장은 열악한 가운데 부채가 몇십조나 되는 한전과 항우연은 같은 기준으로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국정감사에선 ... ...
"올 겨울 코로나19 재유행 예상"...백신·감염으로 생긴 면역력 약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0.04
새로운 변이를 추적 중인 톰 피콕 임페리얼칼리지런던(ICL) 바이러스학과 박사후
연구원
은 "백신의 표적이 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 새로운 변이는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영국과 일부 유럽 국가에서 BA.5에서 변형이 생긴 BQ.1.1이 나타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
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다.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