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1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에 주목하라 '보텀업 세포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위한 새로운 연구 과제를 준비 중이다. 다만 페트라 쉴레 독일 막스플랑크생
화학
연구소 연구원은 “상향식 세포생물학은 상향식과 하향식을 모두 활용하는 합성생물학보다 더 좁은 분야로 모든 부분을 인공적으로 만들어나가며 세포를 연구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윤리적인 부분에 대한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독일의
화학
자들은 리제 마이트너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82년 새로 발견한 109번
화학
원소의 이름을 ‘마이트너륨’으로 지었답니다. 바버라 매클린톡 미국 콜드스프링하버 연구소의 연구실에서 바버라 매클린톡이 연구 중이다. 그는 꾸준히 훌륭한 연구를 발표했지만, 여성을 교수로 뽑지 ... ...
섬유로
화학
신호 전달 성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한양애 연구진이 개발한
화학
신호 전달섬유(왼쪽)과 기존섬유(오른쪽)를 비교한 사진.
화학
적 신호전달이 용이하도록 나노입자들이 가지런히 배치돼 있다. 한양대 제공 ... ...
깃털처럼 가볍고 튼튼한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개발했다. 항공기나 자동차용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된다. 성균관대
화학
공학·고분자공학부 유필진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나노포토닉스연구센터 권석준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그래핀’ 공기 방울을 3차원 구조체로 조립해 초경량·고강성·초탄성을 갖는 탄소소재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촉촉 립밤으로 가을철 입술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09
시어버터는 시어나무의 씨앗에서 얻을 수 있는 식물성 기름이에요. 시어나무의 씨앗에
화학
물질을 처리해 통째로 녹이거나, 잘게 갈아서 끓인 후, 증발되는 기름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답니다. 미션 2 녹는점을 찾아라! 립밤의 재료로 밀랍과 시어버터를 선택했다면, 이제 그 둘을 ... ...
[알쓸안잡] 10화. 우린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2018.11.09
시험결과를 위해 과학자들이 어떤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 보여줌으로써 ‘케모포비아(
화학
에 대한 공포)’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고 합니다. 안전성평가연구소 홈페이지 ☞ https://www.kitox.re.kr/home/sub.php?menukey=355 안전성평가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kitox8310 ※ 필자 ... ...
암세포 전이 과정-우주진화 연구…계산과학 새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이는 신약 개발이나 질병 연구에 활용된다. 곽상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부 교수는 “세포 간 상호작용을 보려면 세포 하나를 최소 100억 개 이상의 입자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하는데, 4호기에선 입자를 1억 개 이상 늘릴 수 없어 세포의 일부를 2차원으로 모사하는 데 그쳤다”고 ... ...
유전자 변이 막고 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형성 억제 효과를 높여줄 신약개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생
화학
및 분자생물학분야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 10월 13일자에 소개되기도 했다 ... ...
배고플 때 예민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 Zeynep F. Altun 제공. 연구진은 예쁜꼬마선충이 싫어하는 페로몬(동물이 분비하는
화학
물질) 물질(ascr#3)을 이용했다. 예쁜꼬마선충이 피하는 횟수가 공복 상태일수록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DAF-2’란 이름의 인슐린 수용체가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조절하는데 저혈당 상태(공복 상태)에서 ... ...
휘는 디스플레이 최대 약점 ‘열팽창’ 문제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대량생산을 가로막는 고질적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알아냈다. 김상률 KAIST
화학
과 교수 연구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흔히 발생하는 열팽창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고분자 물질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디스플레이 특정한 부분을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합성수지로 대체해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