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terminal)’이다.여기저기에 흩어진 AP는 끊임없이 스마트폰들에게 신호를 보낸다. 통신이
가능
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인데 이를 비컨이라고 한다. AP는 보통 약 0.1초(102.4ms)마다 한 번씩 비컨을 보낸다. 만일 주변에 동일한 채널을 쓰면서 비컨을 보내는 AP가 수십 개가 있다면 비컨을 보내는데만 ... ...
노벨상 탈 논문 여기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지지대의 모양을 바꾸면서 점차 모델은 자리를 잡아갔다.반면, “고등학생 수준에서
가능
한 연구같이 보였다”는 노경만 학생의 말처럼 상대적으로 이미 많이 연구돼 있어 친숙한 ‘사이클로이드’는 수월해 보였다. 그런데 너무 흔해서 문제였다. 평범한 주제를 반복하는 것보다 새로운 이야기를 ... ...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상자를 쌓으세요. 상자를 쌓는 경우는 총 8만 2944가지로, 일일이 다 해 본다는 것은 불
가능
합니다! 하지만 그래프를 활용한다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완벽한 파티는 항상 존재한다? 램지 정리A-YO! 박사님, 잘 들어요. 우리가 겨우 6명을 초대하려고 못친소 페스티벌을 여는 건 아니잖아요. 많은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만들어 칩 속에 담았다. 이를 통해 비행체는 스스로 어떤 게 장애물인지 결정하고
가능
한 최단거리 경로로 갈 수 있는 길을 계산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비행체는 53회의 비행 실험에서 바람의 영향으로 2번 추락한 것을 제외하고 장애물 회피 비행을 51회 성공했다.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후보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지지층에선 응답률을 높여 한 쪽에 치우친 결과를 가져올
가능
성이 크다. 또한 상대적으로 응답자가 적은 20~30대로 나이를 속이고, 지지후보를 선택하면 여론을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011년 한국통계학회는 “현 시점에서는 ARS 조사방법의 과학성을 인정할 수 ...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자라고 있다는 환경부 자료가 작년에 나왔다. GM 농산물이 우리 농산물에 섞여 들어갈
가능
성도 있다는 것이다.과학동아 편집장을 지낸 저자는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할 권리에 주목했다. 아직은 연구가 시작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아 GMO가 좋다, 나쁘다를 확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최소한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스마트무인기사업단은 지난해 수직 이착륙과 고속 비행이
가능
한 ‘틸트로터’ 무인기 개발에 성공했다. 개발 기간은 약 10년. 이륙할 때는 헬리콥터처럼 프로펠러(로터)가 달린 날개를 수직으로 세웠다가 비행할 때는 일반 비행기처럼 수평으로 바꾼다. 영화 ‘트랜스포머’에서나 봤을 법한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조건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얼마든지 설계해서 시험할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도
가능
하고 비슷한 환경의 고고도 시험을 통해 개발할 수도 있다. 사람보다 더 똑똑한 ‘살아 있는’ 무인항공기가 이제는 지구의 하늘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의 하늘도 지배하는 미래가 언젠가는 찾아올 것이다 ... ...
빙하가 숨겨 놓은 얼음 세계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녹으면서 얼음 사이에 드러나 있던 바위가 떨어져 내리기도 한다. 바닥도 예측이 불
가능
하다. 단단한 얼음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표면만 얼어붙은 웅덩이일 수도 있다. 깊이 들어갈수록 위험한 순간은 늘어난다.빙하는 1년에 10여m씩 움직인다. 따라서 그 순간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건 그 ... ...
암 전이 메커니즘 밝혀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증식을 반복하지만, 어느 정도 자라게 되면 일부 암세포가 이동할 수 있는, 즉 전이가
가능
한 형태로 바뀐다. 그동안 암세포의 이동에 칼슘 이온이 관련된 것은 알려져 있었지만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708번 마이크로RNA가 평소에는 칼슘 이온의 기능을 억제해 ... ...
이전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