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길》(1551)을 저술했다 1936~ 미국의 전파천문학자 휴스턴 태생 1961년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63년에 벨전화회사의 전파천문 부분 연구원이 되었다A A 펜지아스와 함께 공중에서의 전파잡음을 측정하다가 3K의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했다1978년 펜지아스, 저온물리학에 업적을 올린 P L ... ...
1. 누구나 슈퍼맨인 까닭?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뒤 더 굵고 튼튼한 근섬유가 재생돼 강한 근육을 가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또 남
박사
는 “시합 중에 스트레스 호르몬을 측정하기는 힘들지만 상대와 일대일로 겨루는 태권도나 권투 같은 종목에서도 스트레스는 적절한 긴장감을 유발해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노르에피네프린이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그래도 내 눈으로 직접 보고 싶었다. 목요일 늦은 밤 서재로 갔다. 이번에는 감
박사
없이 나 혼자였다.래빗은 안락의자에 앉아 책을 읽는 중이었다. 서재는 바뀐 점이 전혀 없었다. 집무실은 하루가 다르게 바꾸면서 서재만은 그대로 둔다는 점이 특이했다. “잠깐만 기다려 주겠소? 냉장고에 오렌지 ... ...
참새 소리의 '올드 앤 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과거의 노래를 들었을 때는 암컷이나 수컷 모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데리베리
박사
는 “과거의 노랫소리에 반응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같은 영역에 사는 종으로 인식하지 않는 증거”라며 “노랫소리의 변화는 같은 종 안에서도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영역이 갈라지고 종 분화가 일어난다는 ... ...
운동하면 똑똑해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특정 부위에 새로운 신경세포가 자라는 것을 확인했죠. 일리노이대학교의 아서 크레이머
박사
는 운동을 하면 뇌에서 기억이나 생각 등의 정신행동을 맡은 전두엽이 커진다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과학자들은 운동을 꾸준히 하는 노인들의 머리가 더 좋은 이유를 알아 냈다며 치매 예방에 규칙적인 ... ...
PART2 생체 에너지 공장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지능형 약물전달시스템의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다. 미국 MIT의 존 산티니
박사
팀은 2003년 혈관을 돌아다니며 소량의 약물을 신체 곳곳에 전달할 수 있는 지능형 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의 흥미로운 점은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를 만들어내듯 혈액 속 당분을 빨아들여 로봇 속에서 ... ...
'질환별 표준 뇌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현재 센서의 수를 128개로 늘린 장치를 개발 중이다.이
박사
는 “뇌의 특정한 자기장 분포가 어떤 질환에 관계되는지 정확하게 구분해낸다면 질환별로 표준화된 ‘뇌지도’도 그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뇌질환 표준지도’에서 치매가 ‘사는’ 영역을 확인할 ... ...
공정시스템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다니는 윤기름
박사
(가명)는 회의 도중에 기발한 생각이 떠올랐다. 회의가 끝나기 무섭게 책상에 앉은 그는 인터넷에 접속해 마우스를 클릭했다. 모니터에 떠오른 미생물 목록에서 원하는 미생물을 찾아 클릭하길 몇 번. 기대는 기쁨으로 변했다. “바로 이거야! 이 미생물을 이용하면 ... ...
동물과 대화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말의 의미를 이해하고 대화하는 앵무새랍니다. 1977년 미국 애리조나대학교의 페퍼버그
박사
는 앵무새가 말을 흉내만 내는 것인지 말의 의미를 이해하고 말하는 것인지 궁금했어요. 그래서 애완동물 선물가게에서 산 평범한 아프리카산 회색앵무새 알렉스에게 말을 가르치기 시작했죠. 오랜 노력 ... ...
지문만 봐도 흡연자인지 알아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자외선을 비추면 독특한 형광을 낸다.연구팀을 이끈 이스트앵글리어대의 데이비드 러셀
박사
는 “다른 항체를 쓰면 술을 마셨거나 마약을 복용한 사람의 지문도 판별해낼 수 있다”며 “이 방법은 스포츠 선수들의 도핑 테스트에도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