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선수마다 다른 축구화의 비밀, 스터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필요가 없어 스터드 높이가 낮고 재질은 가벼운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박지성 선수가
지난
4월 1일 북한전에서 신었던 축구화도 FG형이었다.하지만 일반인들은 잔디보다는 맨땅에서 축구를 더 많이 한다. 맨땅에서 신는 축구화는 HG(Hard Ground)형으로 따로 구분돼 있다. HG형은 스터드 개수는 FG형과 ... ...
“쾅!”우주 교통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대로 말씀해 주세요.정말 우주에 오래 떠 있다 보니 이런 일도 있구나 싶어요. 사고는
지난
2월 10일 시베리아 상공 800㎞우주 궤도에서 일어났답니다. 비운의 두 주인공은 1997년 발사된 미국의 이리듐 상업 통신위성과, 1993년 발사된 러시아의 통신위성 코스모스 2251호지요.미국 위성은 500㎏ 정도이고,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크기 효과’는 결정 크기가 마이크로미터(1㎛=10-6m)보다 작을 때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지난
2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현미경연구부 오상호 박사는 크기 효과의 원인을 알아내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께 500nm(나노미터, 1nm=10-9m)의 알루미늄 결정은 힘을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맥동변광성을 연구해 박사 학위를 받고 1996년부터 한국천문연구원에 근무하고 있다.
지난
2월 한국천문연구원 이재우 박사와 함께 쌍성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행성을 발견했으며 최근 별빛가림 현상으로 외계행성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파라디클로로벤젠과 브롬화메틸이 쓰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 보건후생국(DHHS)은
지난
2006년 1월 나프탈렌을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파라디클로로벤젠도 발암물질로 판명돼 현재 미국에서는 두 물질로 가정용 살충제를 만들거나 박물관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친환경 생물방제법으로 ... ...
나방이 특정 냄새에 ‘필’이 꽂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꽃꿀)에서 나오는 수백 개의 화학물질 중에서 몇 개로 구성된 특정 조합에만 반응했다고
지난
2월 24일 미국의 생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실제 화밀로부터 나온 화학물질로 실험을 하기는 이번이 처음. 리펠 박사는 꽃 주변의 공기를 모아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화밀에서 나오는 ... ...
나이를 거꾸로 먹어가는 한 남자의 인생극장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할머니의 손녀인 데이지는 벤자민과 소꿉친구로 자란 사이다. 실질적으로는 사춘기를 갓
지난
‘노인’ 벤자민은 풋풋한 첫 사랑을 기대하지만 데이지와 어울리기에는 외모가 너무 늙었다는 걸 깨닫고 돌아서고 만다. 쭈글쭈글한 주름과 검버섯, 안경이 없으면 앞을 볼 수 없는 시력이 그의 사랑을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엽록체로 이어진 내공생과 무관한 전혀 새로운 스토리다. 독일 쾰른대 연구자들은
지난
해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시아넬 게놈을 완전히 해독한 결과를 발표했다. 예상대로 시아넬 게놈의 단백질 유전자 개수는 867개로 엽록체보다 훨씬 많았지만 가장 가까운 남조박테리아인 시네코코쿠스 유전자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석사과정 이지현 씨도 전공 관련 학술활동 지원 사업의 혜택을 톡톡히 받았다.
지난
해 11월 19일~21일 일본 교토에서 열린 일본 폐기물학회에 참가해 논문을 포스터로 발표하며 많은 학자들을 만났을 뿐 아니라 폐식용유 연료화시설 같은 환경연구시설을 직접 견학할 수 있었다. 특히 이지현 씨는 교토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표현할 수 있는 수준 이상이다. 영국 옥스퍼드대 동물학과 애드리언 토머스 교수팀은
지난
2002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나비의 펄럭거림은 다양한 양식의 비행을 가능케 하는 비밀이라고 설명했다. 사람 눈에는 그냥 펄럭이는 동작으로 보이지만 펄럭이는 속도나 각도, 회전방향을 미묘하게 ... ...
이전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