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과학"(으)로 총 21,002건 검색되었습니다.
- ㅅㄹㄷㄹ포스팅 l20211122
- 어린이들의 꿈.과학자.동아사이언스를 통해 많은 걸 배우지페페는 개구리야.미미는 여자야 맞지?왜일까?페페는 혐.오표현으로 탄압됬어미래가 참 바ㄹㄱ다(?)에에,그레서,대한민국은한국으로써의 정통성을 지켜야해생각을 계속 펼처야 해못된생각은 접고해처럼 밝은 미래 어과동에서 만들어 가자? ...
- 세ㅔ로드립포스팅 l20211122
- 어린이는 과학을 잘 배워야지 동명이인을 만나도 더 좋은 평가받을수 있ㄲ으니 그래도 고운말로 달래면서 운이 오길 기다리며 말을 하다 보면 복이 올거야 로 봇을 만든어 큰1돈을 벌수도 있고 실화 기반의 영화로 히트를 칠수도 있고 화내도 용서받을수 있지 임전무퇴(?)로 도전해! ? 군인이 되면 인자할수도 없고 인심을 받지도 봇하고 권투를 ...
- 시간 여행! 실제로도 가능할까..?!기사 l20211121
- 증명된 것입니다! 위 아인슈타인의 빛의 속도 관련 특수상대성이론 외에도 일반상대성이론까지도 어린이과학동아의 연재 만화 ’과학자 한풀이 대작전-아인슈타인 편‘에서도 자세히 접할 수 있으며, 중력 관련 시간 여행들까지도 시간 여행 SF 영화들을 보며 다시 한 번 더 재미있게 알아가봐도 괜찮을 것 같네요! 만약, 타임 머신이 발명된다 ...
- 잘못 알려진 공룡들의 사실기사 l20211120
- 시기인 20세기 후반에는 19m라고 추정했죠. 그런데 갑자기 메갈로돈이 유명해져서 많은 학자들이 잘못된 추정치를 내게 됩니다. 어떤 과학자는 22m라고 추정하고 어떤 학자는 14m라고 생각하면서 혹자들은 선택의 길에 갈리게 됩니다. 결국 14m설을 믿게 된것이죠. 하지만 이빨 재추정 결과 크기는 20m 이하로 밝혀졌습니다. 이만큼 헷갈리기도 ...
- 계영배에 대해서 알려주세요.포스팅 l20211120
- 이런 과학에 관련된 글 진짜 오랜만에 써보는데 다음주 토요일 영재반 산출물 내야합니다. 원리나 다른 잡다한 정보들 알려주세요. 만든 사람과 계기는 알고요. 도와주시면 신체공개 /주소 전번 공개 제외 소원권 드립니다. 쓰지 않아도 선넘는건 안하실거라 믿습니다 ^.~ ...
- 우리에게 친근한 새가 공룡일 수도 있다고?!기사 l20211120
- 들어간 프로젝트, 치키노사우르스 프로젝트는 우리에게 친근한 닭을 공룡으로 유전자 변형시키는 실험인데요. 이 프로젝트는 어느 과학자가 조류에게 이빨이 생기겠금하는 유전자가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진행된 프로젝트입니다. 아직 성과는 없지만 진행형이니 기대해주세요! 오늘은 공룡과 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는 저희 근처에 사는 비둘기 ...
- 오늘 저녁 붉은 달이 뜬다? ‘부분월식’!기사 l20211119
- 쉽게 구분할 수 있다고 설명했는데요, 특별한 기기 없이 구분할 수 있다면 장소 선정이 중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출처 : [과학]오늘 저녁 '붉은 달' 뜬다...97% 가리는 '부분월식' | YTN 그리고 이번 월식은 아프리카 서부, 유럽 서부, 아메리카, 아시아, 호주, 대서양과 태평양에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
- 우리는 우리들의 이야기를 쓴다. ep. 3-2+:우리는 우리들의 이야기를 쓴다. ep. 4-1: 익숙하고 낯선 아이포스팅 l20211117
- 차가운 딸기향이 입안 가득 퍼져나갔다. “보충수업 때문에 못 온대.” “화예면, 예전에 같이 지냈었다던 그 애요? 조리과학고 갔다던?” 혼도 돼0바를 입에 물며 말했다. 입에 물고 말하는 바람에 초코 비스킷이 바닥에 후두두둑 떨어졌지만 개의치 않아하는 듯했다. “웅. 원래 겨울방학에는 기숙사에 있다가 여름에만 오거든.” 내가 입 ...
- [과학동아천문대 - 이달의 우주 날씨] 실시간 부분월식 관측회 진행!!공지사항 l20211117
- 여러분 안녕하세요~ 11월도 벌써 반이나 지났네요 ㅠㅠ 오늘 과학동아천문대에서 특별한 공지사항을 안내드립니다. 이달의 우주날씨가 부분월식 관측회로 찾아갑니다! 11월 19일, 21세기에서 가장 긴 부분월식이 진행될 예정인데 한국에선 2시간 반 정도 관측이 가능하답니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신기한 현상 같이 보실까요!?? ...
- 제3회 환경학술포럼- 시민과학풀씨 세션 참석기기사 l20211117
- 계통학적 재정립을 주제로 발표한 땅후루 팀과, 생물다양성/환경교육 세션에서 지구도시하천 철새도래지 훼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과학적 접근- 안양천 철새보호구역 시민조사단의 사례 를 주제로 발표한 분들이 대상을 받았습니다. 생물다양성 세션의 박정우 연구자님은 지구사랑탐사대 조류 연구원님이기도 하셔서 수상 소식이 더욱 반가웠습니다. 다시한번 정말 축 ...
이전4584594604614624634644654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