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간"(으)로 총 6,823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로 읽는 과학] ‘조직 재생’ 비밀 담긴 멕시코도롱뇽 DNA 염기서열 해독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2.05
- ‘네이처’ 2월 1일자에 밝혔다. 우파루파의 DNA는 무려 320억 쌍의 염기로 구성돼 있어 인간의 DNA(염기 30억 쌍)보다 10배 이상 염기서열이 길다. 분석에는 한번에 1만5000쌍의 염기를 해독할 수 있는 ‘롱 리드 시퀀싱’ 기법이 활용됐다. 롱 리드 시퀀싱은 기존 기법보다 100배가량 해독 단위가 긴 ... ...
- [팔라우 힐링레터] 열대바다 속 천사를 찾아봐! '엔젤고기' 2018.02.04
- 몸 색깔이 완전히 다른 것도 특징이다. 화려하고 다채로운 옷을 입고 다니는 우리 인간이라도 절대로 따라 할 수 없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이것이기도 하다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남매의 금지된 사랑. 과연 가능할까? 2018.02.04
- 마카크, 카푸친, 레무르, 거미원숭이, 개코원숭이 등 다양한 영장류에서 족외혼 현상(인간과 달리 수컷이 다른 집단으로 떠나는 형태)이 관찰되었고, 침팬지에서도 일부 근교 회피 현상이 보고됩니다. 그리고 어린 시절에 같이 성장한 이성은 결혼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주장을 실증하는 연구가 속속 ... ...
- 휴머노이드 ‘소피아’는 왜 여성일까? 2018.02.03
- 일이지만 부끄러워해서는 안 되는 사회적 책임”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연구 결과 AI는 인간의 성이나 인종에 편향적인 성향마저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화 아이로봇 중 한 장면 – 네이버 영화 참고: https://soic.iupui.edu/news/macdorman-voice-preferences-pda http://science.sciencemag.org/content/356/6334/183 ... ...
- 지카 바이러스 소두증, 유전자 이상이 원인이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02.02
- 치료하면 지카 신드롬의 진행을 막을 수도 있을 전망이다. 브라질 상파울루대 인간의학유전학과 마야나 자트(Mayana Zatz) 연구팀은 지카 바이러스가 유행한 지난 2016년, 쌍둥이 중 한 명 이상이 병증을 앓고 있는 사례에 주목해 그 차이가 RNA 유전자 변형에 있음을 확인, 2일(현지시각) 학술지 ... ...
- 구석기 인도인 손도끼 연구, 인류 이동 시기 앞당기나동아사이언스 l2018.02.01
- 이주해 구석기 시대를 이룩한 시기가 기존의 학설보다 앞당겨지게 됐다”며 “초기 인간의 이주에 대한 앞선 연구결과들도 이와 연계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 “출구에 더 가까운 사람 구할 것”…정말 AI 로봇 소피아의 생각일까?동아사이언스 l2018.01.31
- CEO)는 “소피아는 범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을 돕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소피아도 “나는 과학자나 엔지니어가 될 수도 있고 컴퓨터 프로그래머, 의료 보조인이 될 수도 있다”며 “자폐증을 앓고 있는 아이들을 위해 ... ...
- [동화작가, 남극에 가다 ③] 남극의 온실 2018.01.31
- 있다. 하나의 종이 사라지면 그 종을 먹고 사는 또 다른 종이 사라지고, 그 그물의 끝엔 인간이 있다. 우리는 무엇이든 잃고 난 뒤에야 그 존재의 가치를 깨닫는다. 지구의 땅 끝에서 고추의 맛을 음미해 본다. GIB 제공 [동화작가, 남극에 가다] 다음 편을 기대해 주세요 ※ 필자소개 전현정. ... ...
- 생화학무기 될 수도 있는데...보톡스 생성균 관리 허술 동아사이언스 l2018.01.30
- 호수나 토양, 소시지 통조림 등에서 균을 분리해 낼 수 있는 것은 맞다. 정 대표는 “인간도 어디에나 있지만 오랜 시간을 거쳐 아시아인이나 백인, 흑인 등 인종이 확연하게 구분됐다”며 “현재 아시아인 사이에서 흑인 아이가 태어날 확률이 '0'에 가까운 것과 같이, C형이나 D형 보툴리눔균이 ... ...
-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인공지능과 결합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30
- 가위인 크리스퍼-Cpf1의 효율을 예측할 수 있는 AI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1만9000여 개의 인간 유전자를 크리스퍼로 절단하는 실험을 통해 부위별 절단 효율 데이터 6만7000여 개를 확보한 뒤 이 데이터를 둘로 나눠 딥러닝 AI로 표적 부위별 염기서열과 염색질의 구조, 유전자 가위의 효율 사이의 ... ...
이전4584594604614624634644654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