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각 장애인 돕는 ‘스마트 지팡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앞을 못 보는 시각 장애인들도 이제 친구나 가족의 얼굴을 알아볼 수 있게 됐어요. 영국 버밍엄시티대 스티브 아디그보 학부생을 포함한 3명의 학생 연구자가 10m 떨어진 곳에서도 다가오는 사람의 얼굴을 알아볼 수 있는 스마트 지팡이 ‘익스플로알(XploR)’을 개발했거든요.이 스마트 지팡이의 비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강한 인공거미줄강철보다 강도가 20배 뛰어난 인공거미줄이 개발됐다. 독일 바이로이트대학교 토마스 샤이벨 교수 연구팀은 사람을 비롯한 동물의 장 속에 사는 대장균에 거미의 유전자를 결합시켰다. 그 다음 대장균이 만들어낸 단백질을 얼린 뒤 건조시키고, 이를 알코올이 섞인 물에 통과시켜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중에는 유난히 스스로 실험체가 된 사례가 많았다.미국 코넬대 물리학과 박사과정 대학원생인 마이클 스미스는 벌에게 쏘였을 때의 아픔을 신체 부위 별로 수치화해 생물학•의학 학술지 ‘피어제이’에 발표했다. 그는 이 연구를 위해 38일 동안 하루에 5번씩, 총 200방 정도의 벌침을 자신의 몸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추적하기 어렵다. 알고리즘도 더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 김종윤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연구원은 2010년, 칼만 필터를 발전시킨 ‘다이나믹 칼만 필터’로 축구공을 추적하는 방법을 개발해 논문으로 발표했다. 기존 칼만 필터에 몇 가지 매개변수를 넣어 발전시킨 형태다. 예를 들어 영상에서 공과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위해 정신과 전문의와 재난심리지원 전문가, 사회복지 전문가, 전국 대학생 및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월드프렌즈 청년봉사단 네팔’을 조직했다. 10월 5일부터 19일까지 지진피해 현장에 머문 봉사단은 네팔 사람들의 마음속에 남은 상흔을 보듬는 시간을 보냈다. 기자도 일부 활동에 동참했다.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강조했으며 게으른 이들은 따끔하게 혼내곤 했다. 산자르 교수는 “내가 박사과정 대학원생 시절이었을 땐 퇴근하기 전에 나보다 늦게까지 일하는 사람이 더 이상 없는지 확인하고 집으로 돌아가 잠을 청했다”고 했다. 실제로 그의 박사 지도교수였던 클로드 루퍼트는 산자르가 노벨상을 받은 직후 ...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40년 뒤면 다 떨어질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던데, 실제로 그런가요?정은혜 제가 1998년에 대학에 입학했는데, 그 때 전통에너지 자원이 20년 남았다고 했어요. 그리고 15년이 지난 2013년에 제가 학교에 부임했을 때도 20~30년 남았다고 했죠. 그럼 그 동안 우리가 석탄이나 석유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걸까요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이순신 장군의 거북선을 복원하려는 시도는 많았다. 하지만 설계와 무기의 배치를 두고 해석과 주장이 분분했다. 특히 내부 설계는 알려진 것이 없어 2층설, 3층설 등 다양한 이론이 난립해왔다. 그런데 최근 채연석 전 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이 거북선 내부를 복원하는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상황을 잘 파악하는지 평가하는 ‘위노그래드 도식 시험’ 등이 대표적이다. 왜 갑자기 대학 입학 시험으로 인공지능의 수준을 평가하게 된걸까. 장 교수는 “인공지능의 목표는 결국 인간”이라며 “인간이 가장 치열하게 치르는 시험인 수능이 기준이 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지 모른다”고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17일의 강연은 특별했다. ‘아인스타인의 상대성원리’라는 제목의 이 강연은 동경제국대학 이과부에 재학하고 있는 최윤식이 맡았는데, 200여 명이 모여 열성적으로 강연을 들었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강우석, 안일영, 이정섭, 도상록 등이 상대성이론에 대한 강연을 했다. 이와 같은 노력은 사유의 ... ...
이전4594604614624634644654664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