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켓 공격도 막아주는 첨단 방탄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공기가 순환해 땀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머리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줄
이기 위해서다.김 교수는 "신형 방탄헬멧은 초속 백m로 날아오는 파편의 90% 이상을 막을 수 있는 방탄성능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세계적으로 가장 안전한 수준이라고 말한다. 첨단 방탄헬멧 덕분에 이라크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정말 우회할 길은 없는지 고민하고 또 고민했습니다.”전세계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일약 세계적인 스타 과학자가 된 황우석 교수. 그는 자신의 연구가 ... 복제 성공 1. 복제양 돌리와
줄
기세포의 만남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3. 배아
줄
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 ...
무선 네트워크에 번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통신 기반망의 도움 없이도 자체적으로 무선망을 구성하고 서로간의 데이터를 전달해
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목표를 갖고 있었다.그후 이 기술은 미국을 중심으로 연구가 꾸준히 이어졌다. 또한 이 기술은 군의 작전 상황뿐 아니라 재해 발생 지역이나 재난 구조 현장 등으로 응용범위가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것이 매우 특이하다.오랑아슬리 마을의 한쪽 어귀에는 거대한 무당거미 한 마리가 거미
줄
을 늘이고 먹이를 기다린다. 몸길이가 족히 7-8cm는 돼 보이는데, 이곳 원주민들은 독거미라며 신기한 듯 열심히 설명한다.정글 속 거머리와의 사투 정글은 습도가 90% 이상이어서 기온이 그다지 높지 않아도 ... ...
살아 숨쉬는 갯벌에서 느끼는 감동과 전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1년동안 촬영됐고, 게가 태어나서 죽는 과정을 비롯해 갯벌 생물들의 한살이를 모두 보여
줄
수 있게 됐다. 특히 7-8월 보름에만 2-3일간 집중적으로 산란하는 게의 산란 장면은 지금 생각해도 감동도 전율이 느껴지는 광경이었다고 한다.갯벌탐사,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게가 워낙 눈이 밝고 민감한 ... ...
한국 어디를 찍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오명 과학기술부 장관과 권오규 청와대 정책수석을 잇따라 만나 자국 지지로 입장을 바꿔
줄
것을 요청했다. 최근 두나라의 행보는 미국이 일본을 적극 지원하고 러시아, 중국이 EU에 절대적인 지지의사를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결정에 따라 앞으로 상황이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는 인식에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DNA를 합성한 것 역시 비슷한 방식을 이용했기 때문에 합성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
일 수 있었다. 지난해 12월 2일 PNAS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우선 알고 있는 염기서열에 따라 작은 DNA 조각들을 먼저 합성했다. 위머 박사가 한 것과 다른 점은 각각의 조각들에 서로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 ...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붙어있는 미래의 쓰레기 봉투는 음식물 속에 섞여있는 이물질의 분리 수거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음식물과 일상용품에 심어진 인식칩들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수거돼야 하는지 쓰레기 봉투에 알려주게 된다.유비쿼터스가 공공서비스과 결합했을 때 가장 큰 사회적 파급력을 갖는 영역은 역시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가스를 병합한 복합형태다. 가스기구는 따로 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아 무게의 부담을
줄
여주지만 밤에는 추락할 위험이 있다. 햇빛이 사라져 기온이 영하 수십℃로 떨어지면 가스가 심하게 수축하기 때문. 이때 열을 기구에 가해줌으로써 안전하게 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거리용 기구는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발생하는 저스만 스트라우슬러 신드롬이나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도 처음에는 유전병인
줄
알았지만 결국 프리온 질병임이 밝혀졌다.프리온 질병은 원래 종 간의 벽을 뛰어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었다. 영국은 양이나 염소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스크래피의 발병 빈도가 매우 높은 나라다.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