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0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교수는 “우리가 이번에 만든 단백질 구조체는 컴퓨터로 설계해 만든 단백질 구조체 중
크기
가 가장 크다”며 “사용 목적에 맞게 설계가 가능한 만큼, 목표 지점에 정확하게 약물을 전달해 주는 약물전달물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구글 어스에서 버스
크기
거미 발견?
2016.07.23
같은 형상이 보인다. 검은 몸체와 다리가 선명하다. 사진 공개자는 거미가 틀림없고 실제
크기
는 버스에 가깝다고 주장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정확한 장소는 아직은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바다 한 가운데 바위섬을 촬영한 이미지이며, 인간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희귀 돌연변이 생명체일 ... ...
서울-부산 16분만에 ‘슝’… 한국형 하이퍼루프 시동
2016.07.22
기술의 ‘원조’는 우리나라다. 2011년 10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김동현 연구원 팀이 실물
크기
52분의 1의 모형 열차를 시속 700km로 달리게 하는 데 성공했다. 비록 모형을 이용한 실험이었지만 하이퍼루프의 가능성을 확인한 첫 시도였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손에는 핸드크림 듬뿍, 그런데 발에는 왜 안발라?
동아사이언스
l
2016.07.21
생긴 각질은 체중 부하를 받으며 점점 딱딱해지고 결국은 굳은 살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평소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흔히 족욕을 빙자해 발을 따뜻한 물에 불려 말랑말랑해지면 버퍼 등의 도구를 통해 긁어내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그것은 좋지 않은 방법이라고. 각질은 물론 ... ...
30~40대 직장인, 당신의 눈이 위험하다!
2016.07.20
되고 활성산소는 눈의 정상세포를 파괴합니다. GIB 제공 스마트폰이나 모니터의 글자
크기
는 너무 작지 않게 크게 설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조금만 크게 설정해도 화면을 볼 때 눈에 부담이 적어지기 때문에 편안해 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눈이 ... ...
똑똑함의 끝은 어디? 로봇청소기 스펙열전
동아사이언스
l
2016.07.19
있는 다양한 제품 중에 과연 나에게 맞는 것은 어떤 것일까? '브랜드파워/흡입력/
크기
/사용후기/기술및제조노하우/가격' 등 본인에게 필요한 조건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27년 로봇전문 기업인 유진로봇의 보급형 로봇청소기 아르떼는 정밀한 청소를 위해 초당 최대 20프레임을 촬영해 위치를 ... ...
물고기 산책 시키는 남자 ‘포착’
2016.07.18
걷는데 손에 줄이 쥐어져 있다. 그리고 줄 끝에는 물고기가 있다. 물고기는 살아 있으며
크기
는 50cm 정도 될 것 같다. 남자는 홍수가 나자 답답한 어항 속에 있던 물고기를 데리고 나온 것으로 보인다. 맑은 공기를 쐬고 시원한 물에 몸을 담글 기회를 주고 싶었을 것이다. 이 남자의 마음을 따뜻했지만 ... ...
월척 잡고 행복한 여성들 ‘화제’
2016.07.17
팝뉴스 제공 각자 잡은 물고기의
크기
는 다르다. 그런데 공통점은 있다. 모두 여성 조사들이라는 점이다. 또 물고기를 들고 있는 자세도 비슷하다. 더불어 모두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어서 해외 네티즌들도 덩달아 행복해진다.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월척 잡은 여성’ 사진들이 인기를 누리고 있다. ... ...
수중 드론 길 찾아 주는 ‘수중 GPS’의 세계
2016.07.15
’를 공개했다. 피셸 박사는 “최근 마이크로전자기계시스템(MEMS)이 발달하면서 칩
크기
정도인 초소형 수신기를 만들 수 있게 됐다”며 “군집 드론이나 민간 드론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장은 “성능 차이가 있어 정확하게 비교하긴 어렵지만 샌드샤크 제작비용이 ... ...
“나노물질이 퇴행성 뇌질환 일으킬 수 있어”
2016.07.14
화합물인 실리카로 코팅한 뒤 신경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나노입자는
크기
가 작기 때문에 단백질이나 대부분의 화학물질은 통과할 수 없는 혈액뇌장벽을 통과해 뇌 신경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나노입자가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나노입자가 신경세포 내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