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서울"(으)로 총 4,695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동아사이언스 l2012.08.28
- 연구 분야 ‘융합’이 절실 △줄기세포 분야 연구 포기해서는 안돼 김광수 교수는 1977년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학사 1979년 KAIST 생물공학과 석사 1983년 KAIST 생물공학과 박사 1983~1989년 미국 MIT대 박사후연구원 1989~1994년 미국 코넬대 의대 조교수 1994~1998년 미국 테네시대 의대 부교수 1998~2011년 미국 ...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동아사이언스 l2012.08.13
- 개발 등 새 분야 개척할 지도자 필요 김성호 교수는 1960년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196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화학 석사 1966년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물리화학 박사 1966~1972년 미국 MIT대 생물학과 연구원 1972~1973년 미국 듀크대 생화학과 조교수 1974~1978년 미국 듀크대 생화학 부교수/미국 국립학술원 ...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동아사이언스 l2012.07.23
- CTO는 1980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학사 198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곤충병리학 석사 198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곤충병리학 박사 1984년 5월~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센터장 1997년 7월~현재 중국 과학원/연변대/청도대 객좌교수 1999년 5월~2007년 12월 한중생명공학협력연구센터장 2000년 1월~현재 ... ...
-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9
-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전문적인 바이오 펀딩 컨설턴트 양성해야. 박한오 사장은 1984년 서울대 화학과 학사 1986년 KAIST 화학과 석사 1992년 KAIST 화학과 박사 1992년 바이오니아 사장, 대표이사 1997 제7회 중소기업대상 창업부분 대상 수상 2002년 벤처기업대상 대통령 표창 수상 2001년 ~ 현재 ...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07.04
- 등 공동연구 구축’을 한국 생명공학의 발전 요소로 꼽았다. 강 회장은 중앙대와 서울대 약대를 거쳐 조지아보건과학대(Georgia Health Sciences University)에서 2007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하버드 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는 그는 혈액에서 분리한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해 혈관 생성 메커니즘을 ...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동아사이언스 l2012.07.01
- 전체 규모는 줄었지만 우리나라는 예년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한국관에는 서울시가 입주해 강서구 마곡지구 바이오클러스터 추진을 위한 행보를 보였고,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처음으로 행사에 참가해 우리 고유의 사상의학과 침, 뜸 등에 대해 알렸다. 이 밖에도 경기도를 포함한 23개 ... ...
-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동아사이언스 l2012.06.12
- R&D로 이어가는 시스템 필요 안도걸 국장은 1986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부 1988년 서울대학교 정책학과 석사 2006년 미국 하버드대 행정학과 석사 2002년 3월~2005년 7월 기획예산처 민간투자제도과장 2005년 8월~2007년 9월 세계은행(IBRD) 근무 2007년 10월~2008년 1월 기획예산처 전략기획팀장 2008년 2월~2010년 ...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2.04.23
- 수 있을까요. 제 생각엔 ‘그린 바이오’, 즉 농수산식품이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18일 서울 동작구 신대방2동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만난 송종국 원장(56·사진)은 앞으로 전략적으로 투자했을 때 가장 효과가 클 분야로 ‘그린 바이오’를 꼽았다. 바이오산업은 크게 ‘레드(제약)’, ... ...
- “BT 연구개발, 부처간 이기주의 심하다”동아사이언스 l2012.04.18
- 짠가요? 현재와 같은 예산 지급 투자 시스템으로는 이 점수도 잘 준 편입니다.” 16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본원에서 만난 유승준 생명복지사업실장은 국내 바이오 R&D에 대해 냉정한 평가를 내렸다. 유 실장은 KISTEP에서 국가R&D사업과 생명복지 분야 예산을 배분, ... ...
- “다양하고 넓어진 BT… 정부 부처간 연계가 반드시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04.11
- 생명공학정책을 시행할 정부 관계자들의 좌담회를 제안했다. 6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서울회의실에서 열린 좌담회에는 현병환 센터장, 심재규 과장(농림수산식품부 과학기술정책과), 이영식 위원장(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전문위원회), 이용석 과장(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조정과, ... ...
이전4594604614624634644654664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