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물체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오직 중력만 생각하면 되는 이유다. 중력은 약하지만 가장 큰 힘이다.보편중력 법칙은 수학이 과학의 언어로 자리 잡는 초석이 된다. 뉴턴 이전까진 과학은 정성적인 표현으로 이뤄져 있었다. 모든 것을 숫자로 표현하는 오늘날의 과학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다. ...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굳은 층을 1mm 아래로 내린 뒤, 또 다시 액체를 채우고 레이저를 쐈다. 이번엔 조금 더 큰 원형으로 굳혔다. 이 과정을 수십 번 반복한 끝에 그는 작은 푸른색 컵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3D 프린터로 만든 세계 최초의 물건이었다. 1983년, 이렇게 스테레오리소그라피(SLA) 방식의 3D 프린터가 탄생했다. ... ...
- [과학뉴스] 왕년의 거대 가속기 ‘테바트론’이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와 성능을 자랑했다. 22년 전인 1983년 가동을 시작한 이래 수많은 입자물리학 실험을 주도하며 톱쿼크 발견(1995년) 등 업적을 남겼지만, 2011년 예산 부족과 더 뛰어난 성능을 지닌 가속기(LHC)의 등장으로 운영이 ... ...
- [Hot Issue] “월성1호기 비상장치 보강해야”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안전시설을 보강해야 한다고 주장해대표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계속운전 심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증기격리밸브․격납용기수문이 없어도 안전하다는 한국수력원자력․원자력안전기술원에 맞서 “두 시설이 없으면 사고가 났을 때 방사능 가스가 격납용기 바깥으로 나올 수 있다”고 ... ...
- [수학특강] 전 세계 스타벅스 매장을 모두 가려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너무 짧다. 가장 효율적으로 돌아다닐 방법을 찾고자 할 때, 외판원 문제 해결책은 큰 도움이 된다. 반도체 기판을 만들 때, 아마존 사에서 택배 물품을 관리할 때, 하다못해 마트에서 장을 볼 동선을 세울 때도 도움이 된다. 컴퓨터의 도움으로 지금까지 무려 8만5900개의 점을 연결하는 최적 경로까지 ... ...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관찰하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가속기를 이용해서 양성자나 전자를 가속시켜 큰 운동에너지를 가지게 한다. 그 다음 서로 충돌시켜 우리가 원하는 높은 에너지 상태를 얻는다. 이런 가속기를 충돌장치(Collider)라 한다. LHC의 C가 바로 충돌장치라는 의미다.LHC는 지난 2008년 완성돼 2010년부터 ... ...
- PART 3.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2.5m나 되고 무게도 150kg이나 나가는 괴조였다. 체형도 중생대의 거대 육식공룡과 비슷해, 큰 두개골과 부리만 언뜻 보면 티라노사우루스의 두개골처럼 보인다. 비록 날 수는 없었지만, 엄청난 크기만으로 지상을 압도해 ‘공포새(Terror bird)’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티타니스는 최대 시속 40~60km로 ... ...
- Epilogue. “북한 악성코드는 사이코패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대답했다. 그는 이 회사에서만 15년째 근무 중 이다. 『타닥타닥. 키보드 소리만 들렸다. 큰 소리로 명령을 내리는 사람도 없었고, 날아다니는 총알이나 포탄도, 피를 흘리는 부상자도 없었다. 하지만 이곳은 매일 수십만 회 이상 전투가 벌어지는 전쟁터다. 최근 해킹 위협을 받은 한국수력원자력을 ... ...
- [Hot Issue] DRC휴보II 올해 6월 DRC 우승 노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팔을 등 뒤로 돌리고 드러누워네 발로 걸어갈 수 있도록 만들었다. 하지만 막상 현장에선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➏ 대신 이번엔 정강이 아래쪽에 바퀴를 달았다. 급할 때는 주저앉아 바퀴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안정성이 중요한 ‘잔해 제거’ 등의 과제를 해결할 때 이 방법을 사용할 예정이다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충격과 공포를 주곤 하죠. 하지만 플라스틱이 뱃속에 들어가는 것 자체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닙니다. 작은 유기체들이 마이크로플라스틱을 먹을 경우 내장에 그리 오래 남아있지 않습니다. 요각류에서는 수 시간 뒤면 배설되고, 홍합에서도 며칠 머무르다가 나옵니다.그럼 진짜 문제는 뭔가요 ... ...
이전4604614624634644654664674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