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3 선진국은 상용화, 국내는 시범단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액정표시부에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사용통화요금을 표시하는 고도의 부가
기능
이 포함되어 있다. ISDN텔레라이팅 단말기는 전화통화를 하면서 상대방과 약도와 같은 그림이나 글씨로 구성된 필화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말기로서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내용을 서로 통화하는 경우에 ... ...
4 개인용전화기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통합될 것이다.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미래에 컴퓨터와 전화기의
기능
을 한꺼번에 갖춘 휴대용 단말기가 출현해 기존의 모든 통신기기들을 도태시킬 것"이라고 예언한다.그러나 이동통신의 발달로 야기되는 부정적인 측면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가령 PCN단말기를 항상 휴대하고 ... ...
자외선으로 당뇨병을 이겨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쉬워진다는 점이다.이에 대해 홀의학연구소의 렌 해리슨은 "몇주가 지나면 환자의 면역
기능
이 정상으로 환원된다. 오직 베타세포를 파괴하는 T세포만이 계속 억제될뿐"이라고 주장했다.그는 또 "광이동요법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앞으로 더 많은 환자에게 적용해 봐야 치료효과를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불가능하다 △기계식 타자기를 기본으로 하지 않았다 △입력속도가 느리다 △손가락
기능
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다 △배우기와 치기에 문제많다 △자모벌수가 한글구성원리에 맞지 않다 △왼손잡이용이다 △전자타자기가 더 엉터리다 △전자타자기로 받침을 찍을 수 없다 △컴퓨터화면에 글자가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최종판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해부학적
기능
학적 지식을 활용하고 있다.올드필드는 왼손잡이 여성(6%)보다 왼손잡이 남성(10%)을 더 흔히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인구비율에 있어서 뚜렷한 성차(性差)를 보인다는 것이다. 실제로 왼손잡이가 ... ...
국산 CAM소프트웨어 첫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국산 CAM(컴퓨터이용생산) 소프트웨어가 처음으로 상품화됐다. 큐빅테크(주)는 지난달 14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산공학과 최병규박사팀이 개발한 CAM 소 ... 지향하는 차세대 공장자동화시스템 가운데 하나. 현재 60%의 완성도를 보이고 있는데 일부
기능
들은 현장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주는
기능
을 가지고 있다. 그 외에 동물과 다른 면은 사람의 발은 물건을 잡아 쥐는
기능
이 없어졌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필요없게 된 것이다.우리 발은 앞뒤 방향 그리고 옆 방향으로 오목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를 '궁' '아치'라고 부른다. 이 궁이 없으면 우리들이 흔히 말하는 '편평족' 혹은 ... ...
5 「통신사각지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중계기에 의해 그 필요성이 없어진다. 웬만한 규모의 전화국 정도는 위성이 교환국
기능
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지리적 여건상 지상방식의 통신선로 구성이 어려운 도서 벽지에서도 전화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V난시청지역과 함께 통신 고립 지역이라는 말은 아예 없어지게 된다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워드프로세서는 철자검색뿐만 아니라 문장스타일까지 적절히 교정해 주는 놀라운
기능
을 가지고 있다. 도트매트릭스의 등장IBM 셀렉트릭의 쇠퇴는 새로운 출력기계의 출현을 예고했다. 그 중에서 데이지휠 프린터는 단연 돋보였다. 데이지휠 프린터는 데이지꽃(국화와 비슷) 모양의 바퀴살에 달린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흡수통합될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지난 8월말 발표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능
재정립 및 운영효율화 방안'에 따르면 천문우주과학연구소는 적정규모(critical mass)미달로 평가돼 표준연구소로 흡수되도록 결정됐다.연구기관이 아주 없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연구조직만 성격이 다른 연구소의 부 ... ...
이전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