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50건 검색되었습니다.
ADHD 자녀 엄마에게도 쉼이 필요하다
2017.03.05
역할 놀이 및 가정에서의 연습도 실시합니다. GIB 제공 이러한 모든 훈련이 끝난 후,
연구진
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ADHD 환아 엄마들이 자신의 정신 건강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자녀의 ADHD 증상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이렇듯 ADHD 환아 부모를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 ...
지하철역에서 맛보는 과학…상월곡역 ‘사이언스 스테이션’ 개관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주를 이룬다. 고려대병원과 KIST에 입주해 있는 바이오 벤처들이 운영한다. 그 뒤로는 KIST
연구진
이 개발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가 전시된다.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AR) 빛 실험실’은 카메라에 잡힌 종이카드를 움직이면서 화면의 렌즈나 거울, 프리즘을 움직여 빛이 이런 ... ...
‘공각기동대’ 사이보그 여전사, 현실에서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확인했다. 국내에선 최정우 서강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팀이 비슷한 연구를 하고 있다.
연구진
은 쥐의 심근세포를 배양한 다음 가오리와 같은 모양의 작은 로봇 뼈대에 부착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소프트웨어(SW)로 진입장벽 낮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셈이다. 크리스페타의 실험 설계 능력은 기존 전문가 수준에 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
은 크리스페타로 찾은 유도RNA를 이용해 인간 세포에서 종양 형성 유전자 ‘MALAT1’을 제거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유전자 제거 효율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 ...
‘인공 배아‘까지 합성…난임 문제 해결 실마리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그 혈관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할 또 다른 줄기세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연구진
의 실험은 배아를 13일간 성장시킨 후 종료됐다. 14일 이후의 배아는 ‘원시선(原始線)’이 생겨나 생명윤리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괴츠 교수는 “배아를 이식하는 기술이 이미 개발된 ... ...
플라스틱 쓰레기 섬 생긴 진짜 이유, 드디어 밝혀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마리 중 8~9마리 뱃속에 플라스틱이 들어있다”며 사태의 심각성을 설명했습니다. 호주
연구진
은 바닷새 대부분의 위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 호주 연방과학원(CSIRO) 제공 아래 세계 바다의 플라스틱 쓰레기 농도를 나타낸 지도를 살펴보면 상황의 심각성을 더욱 실감할 수 ... ...
원하는 단백질만 낚아내는 ‘단백질 낚시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화합물을 이용해 사하 약물과 치환하면 탈아세틸화 효소만 남아 추출이 가능해진다.
연구진
은 살아있는 세포에서도 개발된 단백질 낚시법이 가능하단 점을 확인했다. 김 단장은 “사하 외 다른 약물을 분자 미끼로 사용하면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해 ... ...
우주 쓰레기 집어오는 청소위성, 지상시험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청소위성이 쓰레기의 한쪽 모서리만 붙잡더라도 미끄러져 놓치는 일이 없게 한다.
연구진
은 2020년경 우주 공간에서 청소위성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청소위성의 유력 후보는 중량 20㎏을 넘지 않는 초소형 큐브 위성. 이 위성으로 100㎏이 넘는 고장 위성을 고도 80㎞의 지구 대기권까지 끌고 ... ...
오래써도 계속 밝~은 형광등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열적 소광이라는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치유센터를 형광체 내부에 두기로 한 것이다.
연구진
이 개발한 ‘스마트 자가치유(Self-healing) 형광체’는 나트륨(Na) 이온이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도록 설계했다. 이때 나트륨 이온은 형광체 내에서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 준위를 생성하고, 이 준위 ... ...
이빨을 흉내낸 튼튼한 나노구조체를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기존 소재들의 한계라고 여겨지던 조합수치 0.6을 뛰어넘는 물성을 나타냈다.
연구진
은 이 소재를 강한 힘과 진동을 동시에 버텨야 하는 구조뿐 아니라 장시간 진동에 따른 피로 누적이 수반되는 비행 및 주행용 지지체, 내진 설계가 필요한 전자장비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