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스페셜
"
바이러스
"(으)로 총 6,347건 검색되었습니다.
보건교사 3명 중 1명만 "학교 코로나19 대응조직 운영 원활"
연합뉴스
l
2020.07.06
설문조사…"보건교사 업무 과중" 연합뉴스 제공 일선 학교에 꾸려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조직이 원활하게 돌아간다고 생각하는 보건교사는 3명 중 1명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단법인 보건교육포럼 서울지부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 보건위원회는 ... ...
코로나19 사태 반년 '풀리지 않는 5가지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
바이러스
-2의 모습이다. 국립알레르기및감염병연구소 제공 지난해 말 중국 우한에서 번지기 시작한 신종 코로 ... 아직 완벽하게 입증하지 못했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SARS-CoV-2 유전체와 99% 이상 일치하는
바이러스
를 보유한 중간숙주 동물을 찾아내야 한다. ... ...
"소득 낮을수록 코로나19 치명률 높다"...국내 첫 연구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분석했다. 영국, 미국에서도 비슷한 연구가 나왔다. 소득이 필요해 일을 그만두지 못해
바이러스
에 더 잘 노출된다는 것이다. 엘리시오 페레즈스테이블 미국 국립소수자보건및보건격차연구소장팀은 지난 5월 11일 의학학술지 '영국의학저널(BMJ)'을 통해 “미국 내 일부 지역에서 코로나19 환자 및 ... ...
전 세계 과학자 239명 ”코로나19, 공기 통해 전염”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9 환자의 10cm 이내의 에어로졸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를 발견하지 못했다”며 “또
바이러스
속 에어로졸을 얼만큼 호흡해야 코로나에 감염되는 지 모른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의 공기 감염 가능성에 회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WHO는 지난달 2 ... ...
코로나19로 디지털 중독 위험↑…'언택트' 시대의 초상
연합뉴스
l
2020.07.06
과의존 경향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직장인 김인아(29)씨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집에서 혼자 스마트폰을 만지는 시간이 늘어났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하고자 친구들도 거의 만나지 않는 데다 퇴근 후에 하던 수영도 그만뒀기 때문이다. 김씨는 6일 "인터넷 ... ...
코로나19 '공기감염 주의보'에 마스크 중요성 더 커진다
연합뉴스
l
2020.07.06
의 경로에 대해 경고의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확산하고 있다.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의 전자 현미경 영상[연합뉴스 자료사진] 리디아 모로스카 호주 퀸즐랜드대 대기과학·환경공학과 교수 등 전 세계 32개국 연구진 239명은 WHO에 공개서한을 보내 에어로졸을 통한 감염위험에 대해 적절한 ... ...
될성부른 우주 스타트업은 파산도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전 세계에 위성 인터넷을 제공하는 사업을 진행하다 지난 3월 자금난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의 여파로 파산했던 영국 우주개발 스타트업 ‘원웹’을 영국 정부가 인수했다. 영국 정부와 인도 대형 통신기업 ‘바르티 글로벌’ 컨소시엄은 이달 3일 원웹의 지분 약 45%를 1 ... ...
국내 코로나19 확진 하루새 48명…미 누적 확진 300만 '초읽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불구하고 수많은 사람이 해수욕을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EPA 제공 6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국내 신규 환자 수가 48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1명 늘었으며 치명률은 2.16%을 유지했다. 해외에서는 미국이 누적 환자 수 300만 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인도의 확산세가 ... ...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
는 어떻게 탄생했나
과학동아
l
2020.07.04
2015년에는 구스타보 캐타노 아놀레스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작물학과 교수팀이
바이러스
3460종과 생물 1620종의 단백질이 접혀 있는 패턴을 분석해
바이러스
가 원시 생명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각 생물 종의 단백질은 접혀 있는 구조가 조금씩 다른데, 연구팀은 잘 변하는 염기서열 ... ...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07.04
▶ 항체 알아낸 수상자들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면역세포 탐구한 수상자들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 ...
이전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