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가와 천문학자가 만나면?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서기 2019년 남 박사가 이끄는 한국의 우주 탐사대가 달에 도착한다.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밖에 안 되는 달에서 펄쩍펄쩍 뛰며 기뻐하는 남 박사. 그런 남 박사의 눈에 정체불명의 물체가 들어온다. 가까이 가 본 남 박사는 깜짝 놀라 자신의 눈을 의심한다. 그 곳에는 우주복을 입은 미라가 놓여 있는 ... ...
- 한국 슈퍼컴퓨터 세계 14위 역대 최고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우리나라 슈퍼컴퓨터가 역대 기록으로 가장 높은 세계 14위에 올랐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10월 16일 미국 포틀랜드에서 열린 ‘슈퍼컴퓨팅 컨퍼런스 2009’에서 연구원에 있는 슈퍼컴퓨터 4호기가 세계 500대 슈퍼컴퓨터 리스트 14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슈퍼컴퓨터가 세계 14위 ... ...
- 일본, 우주태양광발전소 짓는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일본이 우주에 태양광발전소를 짓겠다며 본격적으로 나섰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2030년까지 우주에 태양광발전소를 세워 이곳에서 얻은 에너지를 지구로 끌어오겠다고 10월 9일 밝혔다. 프로젝트의 이름은 ‘우주태양력시스템(SSPS)’.수km2에 이르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해 태양에너지 ...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지난 10월 10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세계적 투자가 조지 소로스가 기자회견을 가졌다. 그는 앞으로 자신의 재산 중 10억 달러(약 1조 1500억 원) 이상을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청정에너지를 개발하는 기술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소로스가 기자회견 장소로 코펜하겐을 선택한 건 의미심장한 ...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미래탐구(www.mirae-academy.co.kr)는 영역별 강사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수능과 논구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화된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대비반을 운영하고 있다. 원고 집필에는 이승표(물리), 윤종선(수학), 권정미(화학), 김정연(생물), 윤선애(지구과학) 강사가 참여했다. ...
- 살아 있는 지구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영국의 과학자 제임스 러브록은 1978년 ‘지구상의 생명을 보는 새로운 관점’이라는 책에서 과 학적 주장으로는 지나치게 은유적인 주장을 담아냈다. 러브록에 따르면 지구는 생물과 무생물, 대기와 바다, 흙과 흙 아래의 암석이 상호작용하면서 스스로 진화하는 하나의 유기체다. 그는 이 이론을 ...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과학동아 l2009년 12호
- | 우연한 마음 |데이비드 린든 지음 | 김한영 옮김 |시스테마 | 269쪽 |1만 7000원“‘이것’은 몸무게의 2% 정도에 지나지 않으면서 총에너지의 20%를 소모하는 에너지 먹보다.”“산모가 아기를 낳을 때 커다란 머리를 밖으로 밀어내려고 고생하는 이유는 기초부터 체계적으로 설계되지 않은 탓에 ‘이 ...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11월 5일 오전 10시, 인천내항 제1부두 출입관리소를 지나자마자 아라온 호의 위풍당당한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배 전면을 둘러싼 붉은색과 그 위로 솟은 선루의 흰색이 어울려 강렬한 인상을 줬다. 인도명명식을 하루 앞둔 시점이었기에 아라온 호에서는 막바지 정비 작업으로 승무원을 비롯한 수 ... ...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블록은 별이 아니라 별이 수천억 개 모여 있는 은하다. 은하가 어떻게 탄생하고 진화해왔으며, 어떻게 움직이고 무리를 이루는지가 우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이다.우리은하도 홀로 있지 않다. ‘형제 은하’인 안드로메다은하를 비롯해 30여 개의 은하들과 함께 무리 ... ...
- 소리의 속력을 잡아라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소리의 속력은 얼마나 빠를까?올 여름에는 비가 올 때 유난히 천둥번개를 동반한 경우가 많았다. ‘번쩍!’ 하고 나서 몇 초 후 울리는 ‘우르릉 꽝!’. 왜 번개가 친 후 천둥소리가 들리기까지 시간이 걸리며, 왜 이 시간은 매번 다른 것일까? 이미 알고 있겠지만 이는 빛과 소리의 속력 차이 때문이 ... ...
이전4624634644654664674684694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