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부르지요. 이건 초소수성 코팅제 안에 수십nm(나노미터.
1
nm는
1
0억 분의
1
m) 크기의 ‘실리카 알갱이’가 들어 있기 때문이랍니다. 실리카 알갱이는 물과 잘 결합하지 않거든요.한편 액체는 표면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표면장력’이 작용해 둥그런 모양을 띠어요. 하지만 액체를 어떤 물체 위에 ... ...
[과학뉴스]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테라헤르츠파는 주파수가 0.3THz(테라헤르츠·
1
THz는
1
조 Hz)에서 3THz에 이르는 전자기파다. X선 에너지의
1
00만분의
1
수준으로 세포의 구조를 볼 수 있 ... 더 많은 물질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1
월
1
5일자에 ...
[과학뉴스] 남극 공룡의 깃털은 방한용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스웨덴 웁살라대와 호주 스윈번공대 등 공동연구팀이 호주 쿤와라 유적지 근방에서
1
억
1
800만 년 전 중생대 깃털 화석
1
0개를 발견해 분석했다. 이들 화 ... 사용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곤드와나 리서치’
11
월
11
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
1
0 ...
[과학뉴스]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파충류와 포유류는 둘 다 네발 동물이지만 해부학적으로는 차이가 크다. 특히 파충류의 척추는 크기와 모양이 균일한 데 비해 포유류는 다양한 크 ...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
월 7일자에 게재됐다. doi:
1
0.
1
038/s4
1
467-0
1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11
년 5개월이 걸리는 아주 느린 반응이다. 그런데 얼음 속에서는 이보다
1
0만 배나 빠른
1
시간 만에 이 반응이 일어났다. 김 선임연구원은 “얼음 속 준액체층에 산소가 농축되고 산성도가 높아지면서 반응 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얼음이 화학반응을 매개하는 방법은 하나 더 ... ...
20
1
9 네이버 과학판 베스트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올해 대한민국 국민은 어떤 과학 이슈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을까요? 과학동아는 네이버 과학판과 공동으로 일간 조회수 2만 회를 넘긴 콘텐츠 중 베 ... 가변익기를 쓰지 않는 이유 9. 세상에서 제일 비싼 원소! 원자번호 98번 이름은?
1
0. 뒤집혀 있는 거북이를 보면 도와줘야만 할까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찾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뇌 신경망을 모사한 딥러닝 방식으로 인공지능에게
1
인당 50장의 이미지를 총 50만 장 학습시켰고, 인공지능이 약 97%의 정확도로 이미지의 주인을 인식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20
1
7년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기술 인증을 받았고, 기업에
1
5건 이상 기술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분포와 종 등의 정보가 대부분 밝혀졌지만, 그 외의 지역은 정보가 부족하다. 논문 제
1
저자인 헬렌 필립스 독일 통합생물다양성연구센터 연구원은 “열대지방은 구멍을 수km 팔 때마다 새로운 지렁이를 발견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번 지렁이 지도에는 국내 지렁이 분포도 빠져 있다. 최 박사는 ... ...
[
1
0대의 약] 상처나면 소독약 꼭 발라야 한다 VS. 아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상처 부위의 피부 조직이 재생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굿바이! 또 만나요! ‘
1
0대의 약’은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지금까지 사랑해주신 독자 여러분에게 감사드립니다.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과학자들은 입자(particle) 형태의 금에 주목하고 있다. 금을 나노미터(nm·
1
nm는
1
0억분의
1
m) 단위의 입자로 매우 잘게 쪼개면 우리가 알고 있던 노란색이 아닌 붉은빛을 띠게 된다. 이렇게 금이 붉은빛을 나타낼 정도로 수십nm 수준의 아주 작은 나노입자로 쪼개면, 금 나노입자 내부의 자유전자가 빛과 ... ...
이전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