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81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즉 보통 기형은 불완전한 기관이나 조직이 생긴 결과이지만 이 경우는 완벽한 다리가
다만
엉뚱한 자리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공사 인부의 잘못이 아니라 설계도에 문제가 있었다는 말이다. ‘안테나페디아(antennapedia)’, 즉 더듬이(antenna) 자리에 발(pedia)이 달렸다는 뜻으로 이름지어진 ... ...
생식세포는 안 되고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줄기세포
2014.12.24
배반포에 주입했더니 둘이 잘 섞이는 등 완전만능줄기세포의 특징이 나타났다.
다만
이 줄기세포는 생식세포로는 분화하지 않고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확인됐다. 도 교수는 “오직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새로운 타입의 만능줄기세포를 처음으로 만들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들어있는데, 이 가운데는 숙취를 줄여주는 물질도 있고 심하게 하는 물질도 있다는 것.
다만
대체로 숙취를 악화시킨다고 한다. 따라서 되도록 물과 알코올의 순수한 혼합물에 가까운 술이 그나마 숙취가 덜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도수가 비슷한 보드카와 버번위스키(옥수수와 호밀로 만든 미국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완벽했다. 즉 보다 건강한 세포로 이뤄진 개체를 만들기 위한 솎아내기였던 셈이다.
다만
건강한 세포가 어떻게 주변의 시원찮은 세포의 존재를 감지해 이들을 죽음으로 몰아내는 신호를 내보내는 지는 아직 모르고 있다. ●구성원 적체되면 조직의 암이 돼 이에 앞서 학술지 ‘네이처’ 5월 2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부분이 많이 겹치기도 하고 둘 사이에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심리학 연구결과도 있다.
다만
2003년 논문의 영향으로 이를 동일시하는 전제에서 진행되고 있는 후속연구들을 재검토해야 함을 시사한다. 즉 둘의 효과가 같다고 해서 사회적 배제를 당하는 사람들에게 진통제를 투여해 ‘증상’이 ... ...
탱크와 헬기 싣고 적진 돌격… 한국형 새 ‘상륙함’ 취역
동아사이언스
l
2014.11.30
‘해궁’ 발사대를 싣고 있어 적의 유도미사일 공격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모인다.
다만
개발 완료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예정이다. ●'제2의 독도함'도 건조 계획도… 한국군 상륙능력 극대화 방사청은 2020년까지 독도함의 후속함 ‘마라도함’도 건조할 계획이다. 기존 독도함에서의 운용상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함께 특집을 준비했는데 취재를 해가면서 디자인이 꽤 흥미로운 주제라는 걸 깨달았다.
다만
편집장이 원했던 공학적 측면(‘디자인이 기술을 리드한다’가 특집 제목이다)이 아니라(이건 후배에게 떠넘겼다) 미학적 측면에 심취하게 된 것. 특히 필자가 깊은 인상을 받은 건 유명한 건축가들이나 ... ...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주목하고 있다. 특정 순간에 뇌 혈관 속의 산소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법정은 과거 거짓말 탐지기가 그랬듯이 fMRI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기도 경험적 검증을 거쳐야 하고 과학자 사회에서 널리 수용돼야 증거로 채택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시 드라마 얘기로 돌아가자. ... ...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2055년까지 지어야”
동아일보
l
2014.11.19
권고안에 중간저장 시설이 들어서기에 적합한 지역, 건립 시기 등을 제시할 계획이다.
다만
특정 지자체를 지정하기보다는 지질학적으로 적합한 조건을 나열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 기존 원전 내에 세울지, 외부에 별도 저장시설을 만들지에 대한 의견도 여기에 담길 예정이다. 이상훈 기자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얼마만큼 무거울 수 있는가에 대한 상한치를 명쾌하게 제시하는 이론도 없다고 한다.
다만
지금까지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는 가설에 따르면 태양질량의 150배가 한계라고. 미국 로체스터기술연구소 검출기센터 도널드 피거 박사는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 지난 7월 학술지 ‘천문학 ... ...
이전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다음
공지사항